불교중앙박물관, ‘화장(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특별전’ 개막

총무원장 원행스님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화엄석경'을 참배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화엄석경'을 참배하고 있다.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관장 탄탄스님)<화장(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특별전시를 914일부터 1114일까지 연다. 올해로 4회째를 이어오는 교구본사 특별전이다.

지리산 권역에 자리하고 있는 전라남도 명찰인 조계종 제19교구본사 화엄사의 유서 깊은 문화유산들이 소개된다. 불교중앙박물관은 913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전통문화예술공연장에서 개막식을 개최해 귀중한 불교문화재들의 서울 나들이를 알렸다.

특별전에 선보이는 화엄사의 성보(聖寶)는 국보 2, 보물 9, 유형문화재 2건 등을 포함해 총 140265점이다. 특히 그동안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던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국보)의 복장 유물을 비롯해 화엄사 대웅전 비로자나삼신불회도(보물),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과 동오층석탑의 사리장엄구, 서산대사와 벽암대사 가사 등의 귀중한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다. 또한 14000여 점이 넘는 조각편으로 전해지는 화엄석경(보물)이 백미다.

화엄사 불전에 공양구로 사용되었던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자기인 백자홍치2년 명송죽문항아리(국보)’가 전시된다. 곡성 태안사에 전해오고 있는 대바라(보물)를 통해 조선시대 불교의식의 장엄함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4.4m의 대형 후불탱화 3점으로 구성된 화엄사 대웅전 비로자나삼신불회도(보물)1점씩 3회에 걸쳐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로비에 공개될 예정이다.

전남 구례에 위치한 화엄사는 서기 544년 인도의 스님인 연기조사에 의해서 창건돼 1500여 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은 개막식 치사에서 너와 내가 모아지는 불교의 화엄(華嚴) 사상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스스로 참된 성품을 깨닫고 모든 생명의 참된 성품과 만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역설했다.
 

지리산 화엄사 특별전 테이프커팅
지리산 화엄사 특별전 테이프커팅
화엄사 주지 덕문스님이 총무원장 원행스님에게 기념 글씨를 선물하고 있다.
화엄사 주지 덕문스님이 총무원장 원행스님(왼쪽)에게 기념 글씨를 선물하고 있다.

장영섭 기자 fuel@ibulgyo.com
사진=김형주 기자 cooljoo@ibulgyo.com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