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계 대표하는 석학
이중표 교수 번역으로 읽는
단순하고 소박한 불교 정수

가볍고 튼튼한 가죽 표지에
아담한 크기, 휴대하기 편해

‘숫따니빠따 - 피안으로 가는 길’(이중표 역주/불광출판사) 표지 
‘숫따니빠따 - 피안으로 가는 길’(이중표 역주/불광출판사) 표지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탕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종교에 관심이 없더라도 누구나 한 번은 접해 봤을 구절이다. 하지만 그 출처를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이 유명한 구절이 수록된 경전은 바로 <숫따니빠따>이다. 이 경전을 한국불교계의 석학 이중표 전남대 철학대 명예교수가 아름다운 우리말로 펴내 관심을 끌고 있다. 이중표 교수는 얼마 전 같은 불광출판사에서 <담마빠다>를 번역해 펴낸 바 있다.

<숫따니빠따(Sutta-Nipta)>는 <법구경>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담마빠다>와 함께, 초기경전인 5부 니까야 가운데 <쿳다가 니까야>에 수록되어 있다. ‘불교 경전’을 뜻하는 ‘숫따(Sutta)’와 ‘모아놓다’라는 의미의 ‘니빠따(Nipta)’의 합성어로서, 제목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경전 모음’이라는 뜻이다. 그 의미에 걸맞게 <숫따니빠따>에는 72개의 경전, 1149개의 게송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수록된 경전의 내용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기록물의 연대를 근거로, 누구도 이견 없이 가장 오래된 경전, 최초의 경전으로 꼽는 경전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숫따니빠따>가 우리에게 소개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운문 형식의 간결한 문장과 쉬운 내용 덕분에 남방불교권에서 일찍부터 널리 사랑받아왔던 것과 달리, 한문으로 번역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대승불교권에는 <숫따니빠따>가 잘 알려지지 못했다.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91년에 이르러서였다. 법정스님이 일본어 번역본을 우리말로 출간하면서부터였다. 이를 시작으로 여러 종의 <숫따니빠따> 번역서가 출간됐지만 그동안의 번역서는 모두 의미 전달과 원전의 형식, 두 가지 중 하나에만 치중할 수밖에 없었다. 운문으로 된 원전의 운율을 포기하고 정확한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거나 운율을 맞추기 위해 본래의 의미를 명확히 드러내지 못하고 모호하게 옮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 ‘숫따니빠따’를 우리말로 번역해 펴낸 이중표 전남대 철학과 명예교수.불교신문 자료사진 
최근 ‘숫따니빠따’를 우리말로 번역해 펴낸 이중표 전남대 철학과 명예교수.불교신문 자료사진 

하지만 이번 이중표 교수의 번역본은 두 가지를 모두 살렸다. 먼저, 철저한 사전 작업을 통해 기존 번역서들의 오류를 면밀히 파악하고, 빠알리어 경전과 사전을 폭넓게 검토해 단어들의 다양한 용례를 정리했다. 이를 토대로 새롭게 원전을 번역하면서 기존 번역서들의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아 표현의 적확성을 높이고, 문맥을 해치지 않는 의역을 통해 가독성과 리듬감을 살렸다. 원전과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 본래의 뜻과 의역한 이유를 상세하게 밝혔다.

이중표 교수는 깊은 철학적 사유와 원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방대한 초기경전 가운데 핵심 부분만을 정리해서 옮긴 ‘정선(精選) 니까야 시리즈’를 비롯하여 붓다의 가르침과 불교 교리의 정수를 담은 책을 여러 권 출간했다. 이 책들은 모두 이미 불교를 공부하는 독자들에게 필독서로 자리매김했다.

 

“신념을 가지고 착하게 사는
  현명한 동료나 도반 얻으면
  즐겁게 모든 난관 극복하면서
  마음 모아 그들과 함께 가라!

  신념을 가지고 착하게 사는
  현명한 동료나 도반 없으면
  대왕이 정복한 국토 버리듯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본문 43쪽)

 

이중표 교수는 이 책 <숫따니빠따>에는 특히 더 공을 들였다. 번역된 원고를 거듭 퇴고하면서 단어 하나 조사 하나까지 신중하게 골랐다. 뿐만 아니라 번역한 게송을 가사로 쓰는 곡을 만들어 운율을 확인해 보았다. 한 사람이라도 더 쉽게 불교 경전을 접하고, 조금 더 바르게 가르침을 이해하도록 하고픈 마음에서다. 불광출판사는 한 발 더 나아가 평상시에도 <숫따니빠따>를 쉽게 가까이할 수 있도록 가볍고 튼튼한 가죽 재질의 표지와 휴대하기 편한 아담한 크기로 책을 만들었다. 쉽게 단순하고 소박한 언어에 담긴 불교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누구에게나 열린 것이다.

 

[불교신문 3784호/2023년9월5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