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오강남·성소은 지음, 최진영 그림/ 판미동
오강남·성소은 지음, 최진영 그림/ 판미동

비교종교학자 오강남·성소은
‘십우도’ 현대적으로 재해석
'진짜 나'를 찾는 여정 담아

“명상 통해 내 참모습 알고
뇌와 마음의 작용을 길들여”

“찾아야 할 보람되고 의미 있는 그 무엇을 십우도에서는 ‘소’로 상징한다. 그 소는, 앞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본래 내 안에 있었지만 나의 무명(無明)과 미망(迷妄)에 의해 지금껏 의식하지 못하고 살아온 나의 무한한 가능성이다. 이 무명과 망상의 어둠을 뚫고 새로운 나를 찾으려 발돋움하는 것이 바로 첫째 그림 심우(尋牛), 곧 ‘소를 찾아 나섬’이다.”

마음의 본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동자승이 소를 찾아가는 과정에 비유한 10장의 그림인 십우도(十牛圖). 선불교 전통에서 내려오는 십우도는 1500년간 깨달음에 관한 최상의 비유로 사용되며, 주로 사찰 법당의 외벽에 벽화로 많이 그려져 왔다. 최근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비교종교학 명예교수와 성소은 지식협동조합 ‘경계너머 아하!’ 대표가 현대적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해 나를 돌아보는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을 출간해 눈길을 끈다.

이 책은 일상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고 ‘본래의 자유로운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를 탈종교적인 관점에서 오늘날에 맞게 새롭게 그리고 해석한 책이다. 저자인 오강남 명예교수는 <예수는 없다>,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등 한국사회에 오랫동안 묵직한 질문을 던지며, 종교들의 공통된 가르침이 자기 안의 신성을 찾는 것임을 알려 주는 대표적인 비교종교학자다. 성소은 대표는 20여 년간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살아가다가 불현듯 출가해 3년간 참선 수행했고, 환속 후 지식협동조합 ‘경계너머 아하!’의 대표를 8년째 맡고 있다. 학문적이고 실천적인 두 지성은 세계의 많은 종교에서 ‘나를 찾는 길’을 가르치고 있다. 이들은 “각 단계를 간결하고도 명쾌하게 보여 주는 십우도가 자신을 이해하는 길잡이로 탁월하다”고 말하며 참 나를 찾아가는 여정을 폭넓게 아우른다.

특히 저자들은 특정한 종교적 관점에 얽매이지 않고 십우도에서 불교를 비롯한 그리스도교, 베단타 철학, 노장사상 등 다양한 종교와 고전들에서 말하고자 하는 보편적인 주제, 곧 ‘본래의 나를 만나는 의식의 변화’를 읽어 낸다. 십우도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안에 있는 신성(神性)을 찾으라고 가르치는 세계의 다양한 종교의 참뜻을 이해할 수 있다.

“니체에게 대지에서의 삶은 ‘더 강해지고, 더 많은 힘을 얻고, 주인이 되고자 하는 힘에의 의지가 부딪히는 끝없는 사랑의 투쟁이다. 끌어안을 수밖에 없는 자신의 운명과 투쟁하고, 다른 사람의 힘에의 의지와 부딪히는 과정에서만 ‘나’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 삶이기 때문이다. 투쟁은 다툼이 아닌 연마다. 보는 법과 생각하는 법, 말하고 쓰는 일체의 행위를 다시 배우는 자기 극복의 과정이다.” 그러면서 다양한 종교 전통과 철학, 신화, 과학 등의 고전을 종횡무진하며 얻어낸 빛나는 인문학적 통찰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이와 더불어 십우도를 접목해 내 마음의 지도를 만들어가는 저자들은 오늘날 가장 특징적인 종교 현상으로 ‘탈종교화’ 현상을 꼽았다. 점점 많은 사람들이 종래의 전통 종교에서 떨어져 나가 “나는 종교에 관심이 없고, 정신적인 가치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성 종교에서는 자신을 찾으려는 영적 목마름을 채우기 어렵다는 반증일 수도 있다.

때문에 이들은 “나를 찾아가는 여정이 꼭 특정한 종교적 맥락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면서 십우도의 장면마다 명상, 현대과학,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렌즈를 통해 각 단계의 핵심을 짚는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십우도의 여정을 자신의 삶에 적용해 자신의 관심분야에 맞게 내가 찾으려 하는 ‘본래의 나’가 어떤 모습인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혼란 속에서 성찰을 시작하고(심우, 尋牛), 얼핏 나의 본성을 보고(견적, 見跡), 명상을 통해 나의 참모습을 알아차리고(견우, 見牛), 의식을 이해하고(득우, 得牛), 뇌와 마음의 작용을 길들이고(목우, 牧牛), 심리를 가지런히 한다(기우귀가, 騎牛歸家)”면서 “이 모든 단계는 삶에 집중하는 서양철학(망우존인, 忘牛存人)과 텅 빈 물질세계를 증명하는 현대과학(인우구망, 人牛俱妄), 근원으로 돌아가라는 동양사상(반본환원, 反本還源)으로 견고해져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삶(입전수수, 入鄽垂手)을 살게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