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소 크기 추정, 정확한 조사연구로 성격 규명해야

마애불 탁본앞에서 발견 경위를 설명하는 약사암 주지 대혜스님.
마애불 탁본앞에서 발견 경위를 설명하는 약사암 주지 대혜스님.

구미 금오산 현월봉 9부 능선에 위치한 보물 제 490호 금오산마애보살입상에서 멀지않은 곳에서 부처님이 좌선하는 모습을 새긴 손바닥 크기의 마애불(磨崖佛)이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 변이 80㎝정도 크기의 바위 위에 정성껏 새긴 이 마애불은 광배를 포함한 전체 크기가 높이 17㎝ 너비가 20센티에 불과하며, 불상의 크기는 높이 15㎝ 폭 10㎝크기로 성인 남성의 손바닥 정도의 크기로 국내에서 발견된 마애불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마애불로 추정된다. 이는 국가지정 문화재 중 크기가 가장 작은 마애불인 보물 제665호 경주낭산마애보살삼존좌상(慶州狼山磨崖菩薩三尊坐像)의 높이가 88㎝인 것을 보면 마애불의 크기가 얼마나 작은지 알 수 있다.

이 마애불을 처음 발견한 구미 약사암 주지 대혜스님은 “지난 추석쯤 우연히 바위 위에 새겨진 부처님을 발견했는데, 두광과 신광을 표현한 모습과 바위 위에 새겨진 글들이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여겨져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라며 “이번에 발견된 마애불 주변의 환경과 비교하여 금오산의 가치에 대해 좀 더 정밀한 연구가 진행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이날 마애불을 살펴보고 탁본 작업을 진행한 송광사성보박물관의 김태형 학예연구사는 “탁본을 통해 살펴본 마애불의 양식과 주변에 새겨진 백일좌대(白日坐台), 최길상(崔吉尚), 금천(金泉), 수자(修者) 등의 글씨로 추정해 볼 때 아마도 조선 초기에 조성된 마애불이 아닌가한다”라며 조심스럽게 마애불의 조성 연대를 추정했다.

이 마애불을 살펴본 최영식 전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에 따르면 “마애불은 백제에서 신라로 전파되어 7세기부터 8~9세기 이후엔 신라궁궐 밖으로 전해져 일반 서민들도 개인의 수행을 위해 마애불을 조성하게 됐는데, 그 흔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라며 “이 마애불이 오랜 세월 속에 묻히고 굴러다니면서 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든 점도 있지만 앞으로 시간을 가지고 제대로 된 조사를 하면 아마 지금까지 발견된 마애불 중에는 규모가 가장 작은 그리고 이지역의 문화를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자료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한편 마애불을 최초로 발견한 약사암의 대혜스님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 한가운데 있는 마애불의 보호를 위해 본격적인 조사 연구를 진행하기 전이라도 마애불을 암벽 아래로 옮겨 보호펜스를 설치하여 보호할 계획이라 전했다.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과 글씨들.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과 글씨들.
발견된 마애불의 탁본을 뜨고 있는 김태형 학예연구사.
발견된 마애불의 탁본을 뜨고 있는 김태형 학예연구사.
금오산에서 발견된 마애불에 대한 견해를 전하는 최영식 전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자료제공-대구불교방송.
금오산에서 발견된 마애불에 대한 견해를 전하는 최영식 전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자료제공-대구불교방송.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