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1987년 6월 항쟁 30주년을 기념하며 펴낸 ‘6월항쟁과 국본’의 불교 편이 책으로 나왔다. 원래 이 책자는 지난해 나왔지만 기독교 천주교 활동만 들어있고 불교가 빠져 이번에 불교 편을 별도로 펴냈다. 

‘6월항쟁과 불교’라는 제목의 이 책에는 1987년 6월 직선제 개헌과 군부독재 철폐를 주장하며 전국에서 수백 만명의 시민 학생이 일으켰던, 민주화 운동에서 불교 역할을 다루고 있다. 1980년 신군부가 불교계 자체 정화와 자주화 움직임을 저지하고 명분 없는 쿠데타를 감추기 위해 자행한 10·27 법난과 그 후 불교계 사회화 운동의 배경과 과정, 6월 민주항쟁 전후의 생생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동안 불교계 여러 단체에서 일지 형식으로 당시 상황을 정리하고, 관련 논문도 나왔는데 ‘6월항쟁과 불교’는 그간의 성과물을 정리했다는 점에서 훌륭한 기록물이자 논문이다. 더군다나 1980년대 불교계에서 발표한 주요 성명서와 시국선언문 24편을 수록해 사료로서 가치도 높다. 

그럼에도 아쉬움은 남는다. 가장 큰 아쉬움은 이 책자가 본래 실렸어야할 본편인 ‘6월항쟁과 국본’ 편에 실리지 못하고 뒤늦게 별책으로 나왔다는 점이다. 본편은 6월 항쟁 이전 우리 사회 민주화 운동 흐름과 함께 기독교 천주교 편을 독립 분야로 기술했다. 불교는 6·10 항쟁 본문에 간간히 담겼다. 이를 본 지선스님이 아쉬움을 표해 뒤늦게 불교 이야기가 별도 책으로 나온 것이다. 6·10 항쟁에 직접 참여했던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여러 사람들의 인터뷰 등을 정리해 펴낸 귀한 책이 본편에 실리지 못하고 별책으로 나온 것은 두고두고 아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책으로 그 날의 감동을 재현한 것은 다행이자 큰 성과다.

이번 ‘6월항쟁과 불교’ 별책을 통해 얻어야할 교훈은 따로 있다. 불교계의 1980년대 6월 항쟁이 본편에 실리지 못한 것은 불교가 사회 주류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이 책의 애초 기획자는 6·10 항쟁을 준비했던 기독교 천주교 측 인사였다. 당시 불교는 6월항쟁을 이끈 주류가 아니라 여러 단체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30년 뒤에 기록자로 선택되지 못한 것이다. 사회 민주화운동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론 등 모든 분야에서 불교는 과거에도 그렇고 지금도 주류가 아니다. 주류가 아니라는 것은 불교가 대한민국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는 불교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업보다. 종교의 구원은 사후(死後)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작동해야한다. 명망가 스님 몇 명이 특정 분야를 대표한다고 해서 불교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고 볼 수 없다. 종단과 사찰이 사회 활동 분야에 예산을 책정하고 함께 활동하며 인력을 양성하는 책임을 꾸준하게 감당할 때 사회도 불교를 제대로 대접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나마 별책으로 남길 기회 조차 얻지 못할 것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이유가 사회적 책임을 방기했던 업보라는 점을 대한민국의 불교는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된다. 

[불교신문3450호/2018년12월19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