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진 교수, ‘가야불교문화 재조명’ 학술대회서 ‘강조’

장재진 동명대 교수가 ‘가야불교문화, 역사적 이미지와 현황’이란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신화 설화와 역사에 대한 다층적 인식과 융복합적 방법론을 통해 가야불교문화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지난 18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와 동명대 인도문화교류연구소 주최로 부산대에서 ‘가야불교문화 재조명’이란 주제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장재진 동명대 교수는 이렇게 주장했다.

장재진 교수는 ‘가야불교문화, 역사적 이미지와 현황’이란 주제 발표에서 “가야불교의 전래설이 원형이 보존되면서 전승되었는지 지속적으로 윤색 및 각색이 되었는지 논란이 있다”면서 “이러한 이견들은 신화나 설화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이해의 전제가 다름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접근방법이나 해석을 통한 역사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성은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되기에 선행 전제의 설정을 신중하게 한 후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장재진 교수는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존재성은 ‘신성한 역사’나 ‘조작된 역사’가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이에 대한 방증이 편협한 사관이나 신화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시작된 것이라면 선행전제를 성급하게 설정한 논리의 전개를 되돌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야불교문화의 원형 탐색을 통한 접근과 해석에서 ‘융복합적 방법론을 통한 고찰’이 요구된다는 입장도 밝혔다.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장재진 교수는 “어떤 사관을 선행으로 삼을 것인가에 대한 규정과 특정 사실과 관련된 문학작품, 그리고 철학적 종교학적 관점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와 동명대 인도문화교류연구소 지난 18일 부산대에서 ‘가야불교문화 재조명’이란 주제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허왕후의 출자설이나 가야불교문화에 대한 언어적 고찰과 △인문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과학기술 응용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가야문화와 가야불교문화 그리고 허황후의 도래에 대해 최신의 과학기술과 인문학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가 도출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재진 교수의 발표는 일부 사학자를 중심으로 일고 있는 가야불교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 제동을 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학적 사료와 고증을 할 수 없다며 가능성까지 배제하려는 학자들에 대한 일침이다. 장재진 교수는 “(일부 사학자들의) 논리가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세계의 모든 종교가 이같은 과정을 거쳤다고 인정해야 한다”면서 “비단 불교에만 한정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와 전래처 검토(백승옥) △아시아 해항(海港) 문화교류와 불교전파(석길암) △가야불교 논쟁의 실체와 비판적 검토(윤종갑) △북발 루투의 관점에서 본 아요디야(한지연) △전설의 아유타를 찾아서 - 서역 사료로 새롭게 조명해 본 가야사(한대성)에 대한 주제 발표와 논평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