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차와 남전불교

허흥식 지음/ 혜안

차(茶)의 역사를 매개로 ‘북전(北傳)불교-대승불교-선종’이란 한국불교사의 상식에 의문을 던진 책이 나왔다. 차와 불교를 통해 중세 동아시아와 고려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허흥식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가 펴낸 <고려의 차와 남전불교>로 한국 선종이 기원부터 남전(南傳)불교와 인연이 깊다는데 뿌리를 두었다.

저자는 고려시대 고문서와 금석문을 이용해 차의 생산, 유통, 소비를 살폈다. 차 전문잡지에 ‘동아시아의 차와 남전불교’라는 제목으로 연재한 글을 묶은 것이다. 저자는 “남전불교는 차의 재배, 가공, 소비를 촉진시켰다”며 “차가 교통망을 확장하면서 보급되고 넓은 음료에 속하는 술보다 건강과 수양에 필요하다는 확신을 주었다”고 분석했다.

한반도에 차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신라시대인 8세기 후반으로 알려졌다. 그 전에는 해외에서 수입한 차를 주로 사용했다. 직접 재배하기 시작한 곳은 지리산 남쪽 지역으로,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불교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차는 불교의례의 한 용품으로 자리 잡았다. 국왕이 공신이나 고승에게 전하는 대표적인 선물 가운데 하나였다.

저자는 △차의 확산과 시대구분 △고려의 남전불교와 소승종 △차와 남전불교의 만남 △고려 차의 기원과 발전 △지공화상의 남전불교와 계승 등으로 나눠 저술했다. 그는 “조선시대 특산물의 하나인 차가 공납제(貢納制)로 바뀌면서 몰락하고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으로 숨통을 트였지만 고려의 전성시대를 회복하지 못했다”면서 “차는 불교의 수양과 깊은 관련을 가지며 제의와 사교에 활용됐다”고 강조했다.

허흥식 명예교수는 서울대(대학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베이징대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두계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저작상(인문과학부분) 등을 수상하고, <고려 과거 제도사 연구> <진정국사와 호산록> <고려의 동아시아 시문학-백가의집> 등의 저서와 다양한 논문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