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의 돈오돈수

군사정권 쿠데타 환기

“지나치게 자의적 해석

논문보다는 소설같아”

 

조계종 종정을 지낸 성철스님을 군사정권과 연관성이 있는 정치적 인물이라고 주장해 학계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던 서명원 신부(서강대 교수)가 또 다시 스님을 폄하하는 논문을 발표해 논란이 되고 있다. 서 신부는 지난 2014년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는 자신의 책에 영문으로 게재한 논문을 통해 스님이 불교를 개혁했던 방식과 군사정권과의 유사성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해 당시 불교학계로부터 “전문가 글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근거가 부족한 수준 이하”라는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이같은 비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또 다시 독재정권과의 상호 관련성을 제기한 논문을 발표해 물의를 빚고 있다.

문제의 논문은 ‘선사(禪師) 퇴옹성철의 유산, 한국돈점논쟁의 정치적 배경에 대한 숙고’라는 제목으로 지난 9월23일 서강대 종교연구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이는 2014년 비판을 받은 영어논문을 번역, 개고한 것으로 일반인도 읽을 수 있도록 순화한 한글본임을 밝혔다. 하지만 서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도 성철스님이 돈오돈수를 주장한 것을 놓고 “박정희·전두환의 쿠데타를 환기시킨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지눌스님을 비판한 것도 한국불교 내에서 해인사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위였다고 밝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처럼 군사정권과 성철스님과의 연결고리를 찾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이라는 서 신부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져 보인다. 이날 논평자로 나선 홍사성 불교평론 주간도 ‘소설보다 흥미로운 논문 서명원 ‘선사 퇴옹성철의 유산’에 대한 독후감’이라는 논평을 통해 “이 글은 논문보다 소설로 썼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홍 주간은 “서명원은 구조적 공진점이라는 분석틀로 여섯 가지 점에서 퇴옹성철의 돈오돈수론을 비판하고 있는데, 퇴옹성철이 박정희 전두환과 같은 독재자와 어떻게 비슷한가를 조목조목 대응시킨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든 예가 지나치게 자의적이라는 점에서 광범위한 자료인용에도 불구하고 치밀한 분석이기보다 소설적 상상력에 가깝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혹평했다.

현실정치에 대해 스님이 침묵을 지킨 부분에 대해서도 “부처님은 카필라 동족이 몰살한 직후 정치에 관심을 가진 적이 있었지만 정치의 길로 나가지 않았고, 이는 탐진치를 극복하지 못하면 분쟁은 끝이 없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라며 “성철스님은 이 가르침을 극단적으로 실천한 고승이었다”고 강조했다. 홍 주간은 “돈오돈수의 정치적 배경에 대한 서명원의 해석은 놀라운 발상 같지만 터무니없다”면서 “당초 이 논문이 발표됐을 때 불교계가 불쾌해한 것은 논문이라는 이름의 소설로, 멋대로 만든 잣대로 자르고 붙이는 폭력에 대한 최소한의 반응이었다”고 밝혔다.

[불교신문3236호/2016년10월1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