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영가집 강해

한자경 지음/ 불광출판사

 

<선종영가집>은 선과 교의 종합을 모색해 불교의 핵심사상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되는 불서다. 당나라 현각스님이 선종의 제6조 혜능스님(665~713)을 찾아가 법거량을 하고 저술한 내용으로, 후대에 송나라 행정스님이 주를 달고, 정원스님이 문단을 나누고 소제목을 붙인 책이다.

책은 초심에서 계합까지 점진적으로 수행에 들어가는 방법과 입문자가 알아야 할 가르침, 중도와 공의 가르침, 성문·연각·보살 3승의 특징과 실천행 등 선과 교에서 중요시 하는 가르침의 요체를 담고 있다.

한자경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가 <선종영가집>을 풀어 강해집을 냈다. 한 교수는 “먼지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아도 해가 하늘에서 사라진 적이 없고, 무명 번뇌로 물든 각 개체의 중생심 안에 진여심이 잠든 적이 없다는 것이 영가집의 근본통찰”이라고 설명한다.

“땅을 갈고 벌레도 죽이고 누에도 쪄서 죽이고 하는 것은 결국 내가 먹고 입기 위한 것이다. 그렇게 인간은 자신의 목숨을 이어가기 위한 음식과 의복을 얻기 위해 벌레도 죽이고 누에도 죽인다. 결국 남을 죽여 나를 살리니, 한없이 애통하고 참괴할 일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일까. 행정스님은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가능한 다른 생명을 덜 빼앗고 사는 삶이 결국 답이라는 행정스님은 또 “신도들의 시주를 받아 사는 출가자들은 자기 자신만을 위한 삶을 살아서는 안되고, 일체 중생의 해탈을 위해 살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한 교수는 이 책을 번역한 이유에 대해 “불교사상이 아주 체계적으로 짜임새 있게 정리돼 있으며, 치밀한 논리성과 심오함을 갖춘 책”이라고 설명한다. 세종이 한글 창제한 이후 간경도감에서 <선종영가집언해>를 간행한 것도 이런 이유라는 것. 한 교수는 “우리가 허공에 떠 있고 바닥으로 내려갈 길을 잃어버렸다. 오로지 위만 바라보며 분별을 향해 나가고 있다. 선사들의 가르침을 통해 분별이 허망한 것을 알고 내 삶의 주인공이 되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책을 독자들에게 권하고 있다.

[불교신문3185호/2016년3월16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