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유산보존센터…비지정문화재까지 등 체계적 전승 기대

지방문화재나 비지정문화재
보존관리 어려운 현실 개선
불상 불화 불구 서지류까지
불교문화재 종합병원 역할
 
조계종이 불교성보문화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불교문화유산 보존센터(가칭, 이하 보존센터)’를 건립한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지난 1월26일 신년기자브리핑에서 조계종과 협의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불교유산 소장자 중심의 보존센터 건립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보존센터는 국고지원 140억 원, 종단에서 60억 원을 부담해 총 2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문화재보존처리 기관이다. 전통사찰이 소장하고 있는 불교성보문화재에 대한 진단, 보존, 복원, 연구를 담당한다. 첫 출발인 올해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는 기본계획과 운영계획, 기본설계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보존센터 건립은 종단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국가기관을 제외하고 민간에서 가장 많은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게 바로 조계종이다. 한국불교문화재일제조사를 통해 확인된 사찰성보는 약 10만7000점에 달한다. 이 가운데 국보나 보물, 지방유형문화재 등 지정문화재가 1490점, 나머지 98.6%에 달하는 10만 5950점이 비지정문화재이다.
 
하지만 현행 문화재보존 정책이 지정문화재 우선이다 보니 비지정문화재의 경우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하더라도 제때 보존처리가 이뤄지지 않는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보존처리를 하지만 국가소유문화재가 먼저고, 국립박물관 소장 문화재 가운데 상당수가 수장고에서 보존처리작업을 기다리는 점을 감안하면, 비지정 불교유산까지 차례가 돌아올지 미지수다.
 
이런 점을 고려해볼 때 종단의 보존센터 건립은 뒤늦은 감도 있다. 일본에는 이미 50년 전에 설립된 사찰문화재연구소가 있다. 1967년 문을 연 강고지(元興寺)문화재연구소로, 인문과학연구실, 고고학연구실, 보존과학연구실, 목기, 금속기보존연구실, 채색자료수복(修復)실 등을 운영하며 각종 문화재 연구와 수리복원을 담당한다. 일본에서도 손꼽히는 이 연구소는 지난 2006년 영축총림 통도사 영산전 다보탑 벽화수리복원에 참여하기도 했다. 종단의 보존센터 역시 일본 강고지문화재연구소 활동을 거울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완공예정인 보존센터는 불교성보문화재 종합병원이라는 별칭답게 목조, 석조 금동 등 불상과 불화 등 지류의 전문적인 치료를 담당한다. 또 보존환경 개선과 불교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복원, 사찰에 맞게 보존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하고 불교문화재 보존처리 업체에 공간을 지원하고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청, 모사, 보존처리 기술자와 같이 뛰어난 문화재수리기술자 및 문화재수리기능자 영입과 기술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보존센터가 체계적인 보존처리 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보존처리기관 및 업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보존 및 복원기술력을 양성하고 교육 및 연구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근래 들어 사라져가고 있는 옻칠, 개금, 소목장 기술을 되살려 전수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사찰성보박물관과 연계해 안정적인 보존처리 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해외에 나가있는 한국불교의 성보를 보존하고 복원하는 것으로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화부장 정안스님은 “유수연구기관을 통해 초기 설계를 마련, 전 종도가 바라는 보존센터를 건립하겠다”며 “보존센터는 불교문화재 종합병원답게 사찰이 언제든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소중한 불교유산을 만대에 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