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문화재硏, “지옥 깨는 파지옥진언 발견 이번이 처음”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지난해 12월 발굴한 고려시대 고분인 순창 농소고분 관곽(棺槨)의 목관 외면에서 금가루로 쓴 고대 인도 문자인 산스크리트어 300여자를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관곽은 주검을 넣는 속 널과 겉 널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두 겹으로 된 관곽의 안쪽 관 측면에서 발견된 산스크리트어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범자인 ‘실담체’와 ‘란차체’로 쓴 뒤 글자 바깥을 흰색 원으로 감싼 모습이다. 내용은 ‘육자진언’과 ‘파지옥진언’ 등 부처님의 가르침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진언 2종으로, 두 진언이 반복적으로 사용됐다.

육자진언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를 벗어나 중생을 구제해 부처님의 세계에 태어나게 하는 '옴마니파드메훔'(Om ma ni pa dme hum)의 여섯 글자로 된 진언이고, 파지옥진언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옴까라데야스바하'(Om ka ra de ya sva ha)의 일곱 글자로 된 진언이다.

연구소는 “현재까지 출토된 고려시대 목관에서 ‘파지옥진언’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목관에 적힌 두 진언은 중생을 구제해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됐다”고 밝혔다. 또 목관을 조사한 결과 재질은 소나무이며, 고려시대 후기인 13∼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해 이뤄진 농소고분 조사에서는 청동합과 청동수저, 머리카락을 뭉친 다발이 가지런히 담긴 청동반이 나온 바 있다. 연구소는 앞으로 수습된 목관에 대한 보존처리를 완료하고, 고분의 성격, 출토 유물, 범자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담은 발굴조사보고서를 내년에 발간할 예정이다.

 

“출토유물·무덤형태…고려시대 최고위 계층 무덤 추정”

앞서 연구소는 지난해 12월 순창 적성면 운림리 산12-2번지 농소고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를 발표, 이 무덤이 고려시대 덧널무덤(관을 넣는 묘실을 나무로 만든 무덤)임을 밝혔다. 이전까지 농소고분은 삼국시대 고분으로 알려져 왔다.

무덤의 봉토는 길이 580cm, 너비 404cm의 장방형으로 쌓았으나 현재 봉토는 모두 깎여서 편평하게 변했다. 봉토 가장자리에 놓인 병풍석(護石,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봉분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넓적한 돌)만 일부 남아있다.

병풍석 내에는 너비 200여cm의 토광(널빤지를 깔지 않고 흙바닥 그대로 둔 광)이 3단으로 단을 두고 파여 있으며, 전체 깊이는 300cm에 이른다. 이 토광의 맨 아랫단에 길이 210㎝, 너비 85㎝의 나무 널(목관)과 나무 널을 보호하기 위한 나무덧널(목곽)이 이중의 관곽(棺槨, 시체를 넣는 속 널과 겉 널을 아울러 이르는 말) 형태로 확인됐다.

당시 연구소는 “출토유물과 무덤형태 등 여러 정황으로 보아 무덤 주인공은 고려시대 최고위 계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누구 무덤인지 확인되지 않았다”며 “인골 등 출토 유물에 관한 분석을 통해 무덤 주인공의 실체를 밝혀 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