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29일 한일문화장관회의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한국의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일본으로 반출된 한국 문화재 6만7000여 점의 반환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협력기구 구성을 일본 정부에 제안했다”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9월 한중일문화부장관회담에서 유진룡 전 장관은 대마도에서 밀반입된 부석사 불상의 반환을 언급했다가 여론의 호된 질타를 당한 바 있기 때문에 이번 회의가 특히 주목되었다. 이에 일본 측은 지난해에는 회의 도중에 자국의 언론에 긴급 브리핑을 하는 등 수선을 떨더니 올해는 이에 대해 일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13세기 일본을 정벌하러 가다 침몰한 몽골 선박의 흔적을 나가사키 근해에서 찾아냈다며 공동 발굴을 하자고 제안했다 한다.

이웃나라 일본과는 과거부터 청산하지 못한 여러 현안이 있다. 위안부 배상문제, 강제노역자 임금문제, 야스쿠니 신사 등이 합사된 조선인 피해자문제, 귀국선 ‘우키시마(浮島)호’ 폭침 사건, 독도 문제 등 밀리고 밀린 숙제들이 많다. 그 중에 문화재관련 이슈도 뜨겁다. 이와 관련해 지난 7월, 일본에서 열린 65년 한일협정 문서공개 재판에서 일본이 우리나라에서 반출된 문화재의 목록을 조직적으로 은폐한 사실이 확인되어 크나 큰 공분을 일으킨 바 있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우리나라 문화재가 6만7000여 점이고 신사와 개인 소장 유물을 포함하면 30여 만점에 이른다고 일본 국회에서 밝힌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일본은 국제적 규범인 유물의 정확한 정보와 출처(provenance)에 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대마도에는 수백점 이상의 우리 역사문화유산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취득경위를 알지 못한다. 예를 들어 130여점의 불상 중 주종을 이루는 신라, 백제, 고려 불상은 대부분 화상을 입었거나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역사학자들은 ‘왜구에 의한 일방적 청구에 의한 도래’라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일본은 교역에 의한 취득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상식적으로 화상 입은 불상을 왜 구입하겠는가?

지금의 대마도 관음사는 부석사 불상 2기를 소장하였는데 모두 화상입고,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다. 이 중에 부석사 관세음보살만은 복장물을 통해 제작연대와 제작동기, 원소장처 등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거의 유일한 경우이다. 일본은 우리단체와 한국정부의 요구하는대로 대마도를 포함하여 전역에 소장하고 있는 한반도 유래 유물들에 대하여 공동으로 전수조사를 해 출처와 취득경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래야 더 이상 ‘도둑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어둠 속에서 어둠이 자라는 법이다.

[불교신문3067호/2014년12월17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