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수원병 보궐 선거에서 낙선한 뒤 정계은퇴를 전격 선언한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 상임고문이 20일 한 측근과의 통화에서 "잠도 자고 책도 보고 산책도 하고 산에도 다니고, 아주 편하게 잘 지내고 있다"며 전한 '귀거래사'(歸去來辭)이다.

(강진=연합뉴스) 정계 은퇴를 선언한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 상임고문이 전남 강진 다산초당 인근 백련사 뒷산 토굴(흙으로 지은 집)에 둥지를 틀었다. 지난달 31일 재·보궐선거 패배를 뒤로하고 21년간의 정치인생에 스스로 종지부를 찍은 손 고문은 10여 일 전 부인과 함께 이 토굴로 내려와 칩거 중이다. 손 고문은 전남 강진으로 낙향하기로 결심하고 부인 이윤영 씨와 함께 강진 다산초당 인근 백련사 뒷산 중턱에 있는 16.5㎡ 남짓의 토굴(흙으로 만든 집)을 임시거처로 삼아 둥지를 튼 것으로 알려졌다. 당분간 이곳에서 머문 뒤 앞으로 지낼 집을 알아보고 있다고 한다.

이 토굴은 스님들이 한때 사용하다 비워둔 곳으로, 백련사 스님의 소개로 '인연'이 닿았다. 전기만 간신히 들어올 뿐 인터넷 연결도 되지 않는 곳이다.
TV나 신문 등 '세상'과 완전히 절연한 채 백련사에서 점심공양을 하고 하루에 두번씩 직접 장작을 때며 '촌부'의 일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 곳을 찾았던 한 지인은 "손 고문은 외부인을 전혀 만나지 않고 있으며, 길이 험하고 찾기도 어려워 쉽게 접근하기도 어렵다"며 "얼굴이 편하고 밝아보여 안심이 됐다"고 말했다.

1993년 정계 입문 후 광명과 수원, 서울 여의도, 마포, 종로, 분당, 독일 그리고 다시 수원 팔달에 이르기까지 21년 정치역정 속에서 수차례 이삿짐을 쌌던 그가 이제는 그 흔적을 모두 내려놓은 채 조선시대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의 숨결이 깃든 '남도의 땅'에 터를 잡고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2008년 총선 때 당 대표로서 서울 종로에 '구원등판'했다 낙선한 뒤 2년간 춘천에 머무른데 이은 '장기 칩거'이다.

손 고문의 '강진행' 결심에는 "강진에서 살았으면 좋겠다"는 부인의 의견도 감안된 것이라고 한다. 강진은 손 고문 첫째 사위의 고향이기도 하다.

특히 민생 중심의 '실사구시'의 정치를 강조했던 손 고문은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목민심서' 등을 저술한 다산 선생을 세종대왕과 함께 민심을 근본에 둔 정치인의 롤모델로 꼽곤 했다. 이 때문에 야권 주변에선 "지금은 제가 물러나는 것이 순리"라고 사퇴의 변을 밝혔던 손 고문이 '셀프유배'를 떠난 게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조근영 송수경 기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