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

성본스님 지음민족사 펴냄

중국 선종의 다양한 역사 고찰

조사선 출현과 그 형성까지

300여 년간 형성과정 살펴

선의 발생은 석가모니가 깨침을 추구하는 수행의 방식으로 활용한 이후로 시작되었다. 이후 인도불교에서는 불교에 공통되는 수행법으로 전승되어 내려왔다. 그러나 석가모니 붓다의 입멸 일천 년 이후에 보리달마가 중국에 도래하면서부터 중국선은 시작되었다.

이 경우 중국선이란 소위 조사선의 전통에 근거한 선의 역사를 말하는데 그 시작을 보리달마에게서 찾는다. 때문에 <조당집>에서는 조사에 대하여 보리달마의 말을 빌려서 이해와 실천이 상응하는 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기록하였다. 이후에 달마선을 계승한 일군의 선풍을 소위 조사선이라 하였는데 그 사상적인 바탕은 일체중생이 본래부터 깨침의 존재하는 본래성불(本來成佛)에다 두고 일상의 삶에서 그것을 실천하는 전형적인 인물을 지칭하게 되었다. 따라서 중국선은 조사선의 시작과 더불어 그 완성과 전개 등을 거치면서 동아시아불교의 한 특성으로서 발전되었다.

정성본 스님의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중국선 곧 조사선의 출현과 그 형성에 이르기까지 보리달마의 도래로부터 마조의 문하에 이르는 300여 년에 걸친 중국선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사상과 역사와 인물을 통하여 고찰한 저술이다. 그 범위는 보리달마의 도래와 그 문하, 달마선을 중심으로 전개된 능가종의 형성과 전개, 동산법문의 형성과 전개, 북종선의 형성과 사상과 그 전등계보, 남종의 대두와 우두종과 정중종 및 보당종, 선종의 성립과 조사선의 완성 등에 걸친 중국 초기선종의 다양한 주제들에 관하여 고찰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달마전에 대해서는 최초의 기록인 <낙양가람기>를 비롯하여 <속고승전>을 중심으로 다루고, 달마의 선사상에 대해서는 달마가 도래하던 당시의 대세였던 승조의 사념처설 및 달마의 친설로 간주되고 있는 이입(二入)과 사행(四行)을 중심으로 고찰하며, 달마의 문하에 대해서는 전법제자인 혜가를 비롯하여 달마어록의 기록자인 담림 그리고 승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능가종의 성립과 발전의 대목에서는 <능가경>을 중심으로 한 능가종의 전개를 비롯하여 삼조승찬의 역사적 존재에 대한 고증 및 북종선과 남종에 관련한 능가종의 영향관계를 고찰한다.

동산법문에 대해서는 쌍봉법문의 형성과 도신 및 홍인의 사상에 대하여 고증한다. 북종선법에 대해서는 법여와 혜안 및 신수 등 국사(國師)를 중심으로 제도(帝都)에서 활동한 동산법문의 전개 및 신수의 문하 및 북종선의 전등관계를 고찰한다. 남종의 등장에 대해서는 혜능 및 신회를 중심으로 그 전법관계를 고찰한다. 나아가서 도신의 문하에서 배출된 우두종과 홍인의 문하에서 배출된 정중종 및 보당종의 계보 및 그 사상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어서 달마로부터 시작된 조사선에 대하여 그 확립을 홍주종에서 찾고, 조사어록의 출현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 저술에서 다루고 있는 범위는 중국선의 출현을 선법의 전래 및 선종의 형성 그리고 선의 종파에 대한 전등계보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고찰함으로써 중국선의 성립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중국선의 성립에 대하여 조사선의 완성시기인 홍주종에서 찾고 있는데, 그것은 중국선의 사상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면에서 전등계보의 확립을 <보림전>에서 찾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신문2920호/2013년6월15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