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 속에 스미는 추위, 천막결사 스님들 진심 느껴져”
상월선원 체험관 개원 후 재가불자 4명 정진 이기흥 중앙신도회장, 윤성이 동국대 총장 등 중앙종회 의장단 스님들도 12월8일~9일 정진
위례 상월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과 똑같은 청규로 생활하고 참선하는 체험관이 문을 연 12월7일 4명의 불자가 처음으로 방부에 이름을 올렸다.
윤성이 동국대 총장, 이기흥 조계종 중앙신도회장, 선상신 전 불교방송 사장, 임명배 전 한국에너지공단 상임감사는 12월7일 오후2시부터 이튿날인 12월8일 오전10시까지 체험관에서 정진했다.
상월선원을 외호하는 효연스님은 퇴방시간인 오전10시에 맞춰 정확히 체험관 자물쇠를 풀고 문을 열었다. 두터운 방한복과 목도리, 털모자로 중무장을 하고 선방문을 나서는 재가불자들 모습에 지난밤 또한 많이 추웠음을 보여줬다. 추위로 언 듯한 모습이었지만, 환한 웃음을 지으며 나온 까닭에 정진의 시간이 무조건적인 고행은 아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천막법당에서 부처님께 삼배를 올리고, 무사히 정진체험을 마쳤음을 고한 4명의 불자들은 종무소에서 소감문을 작성했다. 이들은 매서운 겨울 추위에 혀를 내둘렀다. 이기흥 회장은 “체험관에서 정진하며 뼛속까지 스미는 추위가 무엇인지 제대로 체험해보니 상월선원 9명 스님들이 힘들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일상을 벗어난 신선한 체험으로 머리가 한결 가벼워졌다”며 “상월선원 결사로 우리불교가 중흥기를 맞을 수 있기를 서원하며 우리 사회가 반복과 갈등을 벗어나 조화로운 사회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윤성이 동국대 총장도 “춥고 참수행법도 결가부좌도 잘 만들지 못하는 불자로서 14시간 동안 참선하는 선방체험은 정말 힘들었다”며 “한국의 불교의 새역사를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수행하는 큰스님들과 동참할 수 있어 생애 가장 큰 기쁨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선상신 전 불교방송 사장은 “상월선원 대중 스님들이 얼마나 열악하고 힘든 환경에서 수행하는지 절감하는 계기가 됐다”며 “매서운 추위가 닥치는 혹독한 환경 속에서 집중수행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었다. 재가 외호대중의 동참도 수행을 지속하는 데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이날 낮 12시에는 조계종 중앙종회 의장단 스님들이 체험관 정진에 들어갔다.
하남=어현경 기자 eonaldo@ibulgyo.com
사진=김형주 기자 cooljoo@ibulgy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