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안정 지속발전’ 종도 염원 담겨
총무원장 스님의 연임에 담긴 의미
제34대 총무원장으로 현 총무원장 자승스님이 선출됐다는 것은 곧 33대 집행부에서 추진했던 변화와 개혁들이 앞으로 4년간 지속됨을 의미한다. 33대 때 제시됐던 다양한 종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종단과 중앙종무기관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님은 33대 총무원장 취임 초기부터 “불교중흥의 씨앗이 되겠다”는 말을 자주해왔다. “단기간의 성과에 급급하기 보다는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계획 하에 한국불교 중흥의 기반을 구축하는 씨앗을 뿌리는 마음과 자세로 종단의 핵심주요과제를 추진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로 33대 집행부는 파종 수준이 아니라 많은 결실을 수확했다. 종단 최초로 승려노후복지제도를 시행했고, 직할교구에 주지인사고과제가 도입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인사를 했다. 또 사찰 토지처분금을 신도시 포교 등 종단 목적사업으로만 쓸 수 있도록 종법을 제정했고, 대법원 등기예규를 통해 종단 승인 없이 사찰의 토지매매를 할 수 없도록 해 재산망실을 방지하는 근간을 마련했다
물론 미완에 그친 종책도 있다. 자성과 쇄신 결사나 교구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중앙종무기관의 효율적 운영이나 수도권 도시포교, 젊은 세대 포교 등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오는 10월31일 34대 총무원장으로서 임기를 시작하는 자승스님은 지난 33대 때 아쉬움으로 남았던 과제들을 해결하겠다고 서원한 만큼 미완의 종책들도 실효를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쇄신과 결사부분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대사회의제와 종단쇄신의 두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과 함께 범불교적 행동캠페인 등을 통해 외연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 임기 동안 자성과 쇄신결사는 대중적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한계를 직시하고 나온 것이다. 생명평화순례걷기, 4대강 유역 답사로 생명결사를, 저소득층 아동들과 결연맺기를 통해 나눔결사를, 불교문화재를 탐방하며 문화결사에 동참하는 등 구체적인 활동을 제안해 불자는 물론 일반 국민도 참여할 수 있는 결사가 될 것이다. 종단 쇄신의 일환으로 진행됐던 사부대중의 종단참여확대와 종단 및 사찰의 재정투명화 역시 34대 집행부에서 기대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도 자승스님이 선거기간 모토로 내걸었던 교구중심제가 이번 집행부에서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올초 교구본사주지회의서 교구책임제를 제안한바 있던 자승스님은 교구에 인사와 재정을 이관하겠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교구가 지역의 중심이 돼 수행과 전법, 포교, 복지까지 담당하게 된다면 지역 내 사찰의 위상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행자들의 안정과 포교현장에 맞는 지원체계가 구축된다면 불교의 역량 역시 극대화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자승스님은 총무원장 직선제 도입, 비구니 권익 및 참종권 확대를 위한 방안도 심도입게 검토하겠다고 밝힌바 있어 종단의 변화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총본산 성역화 역시 종도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10년간 추진될 성역화 사업의 1단계기간인 오는 2017년까지 자승스님의 주도로 불사가 추진된다. 차기 집행부에서는 종단 실무자와 도시계획 전문가, 행정당국 관계자가 결합한 총본산성역화불사 추진위원회를 구성, 총본산 성역화 사업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