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중흥조이자 한국불교사에 큰 족적을 남긴 고려말 대표적인 고승 태고보우(太古普愚, 1301~1382)스님. 태고스님의 속성은 홍씨,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 시호는 원증(圓證)이다. 경기도 양평이 고향인 보우스님은 13세 때 회암사 광지선사에게로 출가했다. 9산선문의 하나인 가지산문의 종풍에 따라 스님은 선가의 가풍에 자연스레 젖어 ‘만법귀일(萬法歸一)’의 화두를 참구했으며, 교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26세 때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하기도 했다.


역사 담긴 진영 없어 아쉬워

보은 법주사 봉안작품 ‘最古’


<사진> 보은 법주사 진영각에 봉안돼 있는 태고 보우국사 진영.

그러나 오래지 않아 교학의 한계를 깨닫고 궁극적인 깨침에 이르고자 모든 반연을 끊고 화두에만 전념했다. 죽음을 넘나드는 치열함으로 정진하던 33세 때 용맹정진 7일 만에 1차 깨달음을 경험하고, 이어 37세 때에는 <원각경>을 탐독하다가 ‘일체가 다 사라지면 부동(不動)이라 한다’는 구절에 이르러 2차 깨달음을 얻었다. 이후 스님은 조주스님의 ‘무(無)’자 화두를 들고 다시 정진한 끝에 38세 때 활연히 깨치고, 다시 1700공안을 참구하던 중 ‘암두밀계처(巖頭密啓處)’에서 오래 막혀 있다가 홀연히 그 뜻을 깨닫게 된다.

백운암에 머물던 태고스님은 47세 때인 1346년 원나라에 건너갔고, 다음 해인 1347년 임제 18세인 석옥청공 스님을 만나 인가를 받았다. 당시 석옥스님은 태고스님에게 “불조의 명맥이 끊이지 않게 하라”는 당부와 함께 가사와 주장자를 전했다고 한다.

48세 되던 해 원나라에서 돌아온 스님은 산천을 돌며 수많은 납자들이 진리의 눈을 뜰 수 있도록 이끌었다. 이런 가운데 1357년, 보위에 오른 공민왕은 스님을 왕사로 임명하고자 했으나 스님은 끝내 거절했다. 그러나 공민왕은 왕사의 법복과 인장을 스님의 처소로 보내 주자 스님도 어쩔 수 없이 이를 받아들여 왕사로서 원융부를 설치해 종단의 화합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불과 10개월 뒤 스님은 스스로 왕사의 자리에서 물러나 다시 소설산에 머물었고, 1371년 공민왕은 이러한 스님을 나라의 스승인 국사로 책봉했다. 교단의 자정과 수행풍토를 진작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태고스님은 1382년 법랍 69세, 세수 82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스님의 저서로는 <태고화상어록>2권과 <태고유음>6책 등이 전해진다.

이처럼 태고스님은 한국불교사의 한 획을 그은 선각자이자 대선사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스님의 진영은 온전히 전해져 내려온 것이 많지 않다. 보은 법주사 진영각에 모셔져 있는 태고스님의 진영이 가장 오래된 진영으로 알려져 있다. 법주사 진영각에는 창건주 의신조사를 중심으로 태고스님을 비롯해 석상.진하.탄응.법영스님 등 24명의 진영이 봉안돼 있다.

이외 태고스님의 진영은 대부분 최근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가운데 유명한 것이 순천 선암사의 진영이다. 선암사 조사전에 봉안돼 있는 이 진영은 불화를 공부해온 김범수 화백이 7년간의 작업 끝에 지난 2004년 완성한 것으로 불교미술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허정철 기자 hjc@ibulgyo.com

[불교신문 2411호/ 3월22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