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임을 확실히 깨달아야 생사를 벗어날 수 있어

현세 인생에 대하여


사진설명: 경허스님의 전법제자로 한국전통불교의 맥을 계승하기 위해 일생을 헌신했던 만공스님.
인간의 일생은 짧은 한 막의 연극에 지나지 않는데, 이 연극의 한 장면이 막이 되면 희노애락을 연출하던 그 의식은 그만 자취 없이 사라져 버리고 육체는 썩어버립니다. 이 얼마나 허망한 일입니까.

이 허망하기 짝이 없는 그 이전인들 1분의 자유라도 있었습니까. 밥을 먹다가도 불의의 죽음이 닥치면 씹던 밥도 못 삼키고 죽어야 하고, 집을 아무리 많은 돈을 들여 찬란하게 짓다가도 느닷없이 화재라도 만나면 방 안에 한 번 앉아 보지도 못하고 허망하게 가는 것입니다. 직접 내 자신의 일에도 이렇게 늘 자유를 잃어버리는데 인생의 집단인 사회와 국가를 세운다는 일이 얼마나 서글픈 일입니까. 자유의 바탕을 얻어야 근본적 자유를 얻게 됩니다. 자유가 어디에서 얻어지는지도 모르는 인간들이 자유를 부르짖는 것은, 쌀도 없이 밥을 지어 배부르게 먹는 이야기만으로 떠드는 셈입니다.

인생은 자기 업신(業身)의 반영인 이 몽환(夢幻)세계를 실상으로 알고 울고 웃고 하는 것은 마치 은행나무가 물에 비치는 제 그림자를 이성으로 감응하여 열매를 맺는 것과 같습니다.
인간이 산다는 것은 생의 연속이 아니라, 생멸(生滅)의 연속입니다. 인간이 죽는 순간도, 죽기전후 생활도 다 잊어버립니다. 입태(入胎), 출태(出胎)의 고(苦)도 기억하지 못하고 다만 현실적 육식(六識)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 생활만 느끼고 사는 것 입니다. 천당에 갔다가 지옥에 갔다가 사람이 되었다가 짐승으로 떨어졌다가 하는 그러한 생이 금세 지나가고, 또 한 생이 금세 닥쳐오는 것이 마치 활동사진의 영상이 연속해 교환 이동되어 빠른 찰나에 다른 장면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인생은 과거를 부를 수도 없고, 미래를 보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가 현재이기 때문에 현재를 완전히 파악하게 되어야 과거, 현재, 미래의 생활을 일단화(一單化)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인생은 과거에 사는 것도 아니요, 미래에 사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현재에만 살고 있는데 현재란 잠시도 머무름이 없이 과거에서 미래로 이동하는 순간이니, 그 순간에 느끼는 불안정한 삶을 어찌 실(實)답다 할 수 있겠습니까. 과거와 현재가 합치된 현실이 있나니 현재는 과거의 후신(後身)이요, 미래의 전신(前身)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입니다.


현생에 자족 못하면 다시 얻을 도리 없어

생로병사.희노애락까지도 다생(多生)으로 익혀 온

망령된 습관의 취집(聚集)이요,



우리가 사는 세계를 중심으로 하여 위로 상상할 수 없는 최고 문화세계가 헤아릴 수 없이 벌어져 있고, 아래로 저열극악(低劣極惡)한 그 양과 수를 헤아릴 수 없는 지옥의 세계가 다 함께 몽환세계인 것이니, 과연 어떤 것이 실세계인지 그것을 알아 얻는 것이 곧 진아 세계(眞我世界)를 체달(體達)하게 되는 것입니다.

나의 현재 생활이 일체(一切) 세계라, 현재 생활에서 자족(自足)을 못 얻으면 다시 얻을 도리가 없습니다. 인간들은 모두 자기에게는 좋은 것이 와야 할 희망을 갖고 생을 이어 가지만 좋은 것을 취하는 것이 곧 언짢은 것을 얻는 원인인 줄을 알지 못합니다. 인간 생활의 주체가 되는 생로병사와 희노애락까지도 다생(多生)으로 익혀 온 망령된 습관의 취집(聚集)이요 결과임을 확실히 깨달아야 비로소 생사를 벗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우주에는 무한 극수적 이류중생(異類衆生)이 꽉 차서 각각 자기 습성에 맞는 생활권을 건립하고 있지만, 우리 육식(六識)은 다생(多生)의 습기로 점점 고정화돼 사바세계 인간으로는 어느 한도를 넘어서는 도저히 볼 수 없고, 느낄 수도 없습니다. 천인이니 지옥이니 신(神)이니 귀(鬼)니 하는 것도 결국 우리 육식으로는 판단할 수도 없는 이류 중생의 명상에 지나지 않습니다.

습관은 천성이라 천재니 소질이니 하는 것도 다생으로 많이 익혀서 고정화돼 이루어진 것인데, 이것이 바로 업(業)입니다. 물체는 결합, 해소의 이중 작용을 하기 때문에 영겁을 두고 우주는 건괴(建壞)되고, 인생은 생사를 반복합니다. 중생이라 하는 것은 한 개체에 국한된 소아적(小我的)인 생활을 하는 사람짐승, 벌레 등으로 일체 자유를 잃어버리게 돼 다만 업풍(業風)에 불려서 사생육취(四生六趣)에 헤매게 됩니다.

불(佛)이란 일체 우주를 자신화해 일체 중생이 다 내 한 몸이요, 삼천대천세계가 다 내 한 집이니, 어느 집이나 어느 몸이나 취하고 버리는 것을 내 임의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정리=허정철 기자 shutup0520@ibulgyo.com



-만공스님(1871~1946)은

만공(滿空)스님은 한국선불교의 중흥조 경허 성우(鏡虛 惺牛)스님의 전법제자로 일생의 대부분을 수덕사에 주석하며 선풍을 진작했던 고승이다. 법명은 ‘월면(月面)’이고 호가 바로 ‘만공’이다. 스님은 14살이 되던 1884년 동학사에 들른 경허스님의 인도로 충남 서산 청장사에서 태허스님을 은사로, 경허스님을 계사로 득도했다.

만공스님은 경허스님으로부터 조주(趙州)의 무자(無子)화두를 들라는 가르침을 받았다. 스님은 이후 서산 부석사와 부산 범어사 계명암에서 경허스님을 시봉하며 정진하다가 1901년 양산 통도사 백운암에서 새벽 종소리를 듣고 크게 깨달았다. 스님은 본사인 천장사로 돌아와 1904년 경허스님에게 깨달음을 인가받고 전법계를 받았다. 이 때 받은 법호가 ‘만공’이다. 이후 스님은 전국 산천을 유람하다가 1905년, 예산 덕숭산에 금선대를 짓고 납자를 지도하기 시작했다. 스님은 1902년 초 선학원 설립운동을 일으켰으며, 선승들의 결사이자 경제적 자립을 위한 모임인 선우공제회운동의 지도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만공스님은 덕숭산에 머물면서 수덕사를 중창한 것을 비롯해 정혜사 능인선원과 비구니 선원 견성암을 개설하는 등 한국 전통불교의 맥을 계승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불교신문 2096호/ 1월14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