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문화재 돌봄사업 올해 확대 시행

소유자 없는 노후 문화재
상시적 감시 관리로 보호
금년 예산 15억 원 증액
불교문화재 보존에도 도움

문화재청이 올해 문화재 돌봄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사진은 신라문화원 문화재돌봄사업단이 2020년 7월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 주변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문화재청이 올해 문화재 돌봄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사진은 신라문화원 문화재돌봄사업단이 2020년 7월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 주변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우리나라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문화재가 있다. 국가가 그 가치를 공인한 문화재들은 그만큼 관리를 잘 받는다. 반면 비()지정문화재들은 단순한 돌덩이나 쇠붙이로 방치되기 십상이다.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주로 문화재 돌봄사업은 이들을 위한 손길이다. 전체 문화재의 65%에 달하는 불교문화재를 보호하는 데에도 요긴하다.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전국의 국가지정문화재(등록문화재 포함)와 시·도지정문화재, 비지정문화재 8700여 개소의 문화재를 대상으로 ‘2021년도 문화재 돌봄사업을 시행한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돌봄사업을 통해 소유자나 관리자가 없거나 노령화 등으로 관리가 어려운 문화재와 관리사각 지대에 있는 비지정문화재 등을 선제적 차원에서 보호하고 문화재 주변과 관람환경을 개선해 국민의 문화유산 향유권을 신장시키고 문화재 분야와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다.

문화재 돌봄사업은 상시적이고 예방적인 문화재관리 체계다. 주기적인 사전점검(모니터링)과 일상 관리, 경미한 훼손에 대한 수리 활동으로 문화재를 지키는 일이다. 평소에 틈틈이 호미로 막아주면 가래로 막아야 할 일이 적어진다. 사후에 발생하는 보수정비 부담을 줄이며 보수 주기도 연장시키는 장점이 크다. 2009년 문화재보호기금법 제정을 계기로 2010년 처음으로 5개 시·도에서 시범 시행한 이후 사업의 효용성이 인정되면서 2013년부터 전국 17개 시·도로 전면 확대됐다.

무엇보다 민간의 역할이 쏠쏠하다. 돌봄사업이 시작된 이후 지난 10년간 관리 대상이 되는 문화재와 돌봄사업단(민간단체 공모 수행) 규모가 늘어나면서 상시인력 수, 사업 예산 등도 꾸준히 함께 늘어났다. 특히 올해는 전년보다 국비 15억 원이 증액된 30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작년보다 539개소가 늘어난 8665개소의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일자리도 발생한다. 각 지역 23곳의 돌봄사업단에서 상시인력 770여 명이 고용되어 돌봄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지난해 문화재 돌봄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문화재청은 오는 6월 중앙문화재돌봄센터 출범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문화재돌봄사업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10년을 준비하기 위해 중장기 단계별 이행안을 수립하고 법률 정비에 나서고 있다. 일관된 경미수리의 기준 확보를 위해 중앙문화재돌봄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중앙센터-지역센터 간 원활한 소통과 유기적 협력체계 마련을 위한 협의체도 발족할 계획이다.

가성비 갑()’의 정책이기도 하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작년 11월 문화재돌봄사업 10주년 기념 정책 심포지엄에서 문화재돌봄사업은 문화재청의 여러 사업 중 예산 대비 가장 효과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마련해 더 많은 문화재가 돌봄의 손길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화재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 전환에도 도움이 된다.

진병길 ()한국문화재돌봄협회 회장은 문화재 돌봄사업은 문화재 주변관리를 통한 문화재 관련 일자리 확대와 마을 경관 개선으로 이어진다지역의 소소한 문화재가 개발을 가로막는 골칫덩이가 아니라 지역경제를 살리는 복덩이로 받아들여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