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불상과 함께 ‘대자대비’라고 하는 부처님의 크나큰 사랑이다. 불교의 핵심인 대자대비 즉 자비는 과연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며, 우리는 어떻게 대자대비심을 가질 수 있는가?


자비는 세속적인 사랑과는 구별
일체 생명에 대한 평등·존중이
기본적으로 자리 잡고 있어야
부처님 대자비심 닮아갈 수 있어


  불교의 용어 앞에 큰 ‘대’자가 붙는 것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광명에 비유해 대광명이라 하거나 부처님의 가르침인 지혜를 대지혜, 부처님의 깨달음을 대각(大覺) 혹은 대오(大悟), 부처님의 열반을 대열반, 경전들을 모은 것들을 대장경이라 하는 것들입니다.

그런데 자비는 대자비라고 하며 큰 대자를 붙이고, 대자대비라고 해서 자와 비 앞에 모두 큰 대자를 붙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자비 그 자체로 한 단어가 되기도 하고, 자와 비가 독립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자비의 의미는 ‘이해와 용서, 사랑 그리고 포용’의 의미가 강하지만 불교적으로 보면 그 뜻이 매우 심오합니다. 자비는 인도 고어인 빨리어 Mettā(慈)와 karun.ā(悲)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자(慈)자로 번역된 Mettā와 산스크리트어 Maitri는 모두 Mitra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미트라는 ‘친구’ 또는 ‘가까운 자’라는 뜻입니다. 비(悲)자로 번역된 카루나(karun.ā)는 빨리어나 산스크리트어 모두 같은 단어이고,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연민의 정’을 의미합니다.

자도 비도 비슷한 뜻인 것 같으나 그 차이를 말하자면 자는 ‘남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與樂)’이고, 비는 ‘자신과 남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것(離苦)’입니다. 그래서 자비를 한문으로 이고여락(離苦與樂)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할 때 괴로움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얻게 해주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의 가르침이라고도 하는데, 자비가 이고여락이라면 이고득락과 다를 바 없으니, 불교는 다름 아닌 곧 자비라고 해도 무리가 아닐 듯 싶습니다.

대자대비인 자비는 큰 대자가 두 개나 따라다니는 것처럼 그 범위가 매우 넓어, 사람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우주의 모든 생명체까지 자비심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즉 자비는 인간들 사이의 ‘~ 때문에’라는 조건적인 사랑이 아니라, 우주 만물에 대한 한 치의 차별도 없는 ‘~임에도 불구하고’라는 무조건적인 사랑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자비는 세속적인 사랑과는 분명히 구별됩니다. 속세의 사랑과 미움이라는 대립된 감정을 초월한 순결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자비입니다. 나 이외의 모든 생명도 결국 내 몸의 일부분이라는 동체대비심이 진정한 대자대비심인 것입니다. 이러한 불교의 일체 생명에 대한 평등·존중 사상이 우리의 가슴에 기본적으로 자리 잡고 있어야 부처님의 대자비심에 닮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불교신문3647호/2021년1월23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