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불교에서는 오신채(五辛菜)라고 해서 수행자들이 다섯 가지 먹지 말아야 할 채소가 있다고 들었다. 어떤 것들이며, 왜 금지하는 것인가?
 

몸과 마음 산란시키는
오신채 사용하지 않아
수행과 설법에 장애 돼


A    템플스테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찾는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 불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찰음식입니다. 이 사찰음식에는 다섯 가지 매운 채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섯 가지 매운 채소는 마늘, 파(양파 포함), 부추, 달래, 흥거(한국에는 없음)를 말합니다. 여기에 청양고추처럼 매운 고추(가루)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고추가 포함되지 않은 이유는 맵지 않은 고추도 있겠지만 매운 기운이 계속 남아 몸과 마음을 산란시키는 영향이 비교적 적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 오신채는 육식처럼 주로 대승불교권에서 전승되어 오는 문화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능엄경> 제8권에는 부처님은 이 다섯 가지 채소를 금지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습니다.

“아난아, 일체 중생은 독한 것을 먹기 때문에 죽나니, 모든 중생들이 삼매에 들고자 한다면 마땅히 오신채를 끊어야 하느니라. 오신채는 익혀 먹으면 음란한 마음을 발생시키고, 날 것으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이 더해지나니, 이 세계에서 매운 채소를 먹는 사람은 비록 12부 경전을 설법한다고 하더라도 시방의 하늘이나 신선들이 냄새를 싫어하여, 모두 멀리 떠날 것이다.”

불자들은 수행하여 평온한 마음, 고요한 마음, 화평한 마음을 유지하여 삼매에 들어 부처님의 경지에 이르러야 하는데 위 다섯 가지 채소들은 도리어 음란한 마음이 생기고 화내는 마음이 일어나기 때문에 멀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찰에서는 이 오신채를 대신하여 다시마·들깨·방앗잎·제피가루·버섯 등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 재료들은 자극적이지 않고 부드러움을 더해주며 청정하고 유연하기까지 하여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위 <능엄경>에서 ‘12부 경전을 설하더라도 입 냄새에 모두 떠날 것’이라고 했듯이, 부처님 당시 마늘을 먹은 한 비구가 법회에 왔는데, 마늘 냄새로 인해 대중들이 힘들어 하자 마늘·파·부추 등 냄새가 심한 종류의 채소를 먹지 못하게 계율로 정했다는 내용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신채는 또한 오훈채(五葷菜)라고도 불립니다.

여기서 훈채(暈菜)라는 것은 ‘냄새가 많이 나는 채소’라는 뜻입니다. 대중생활을 하는 수행자들이 입 냄새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막으려던 게 오훈채 금지의 계기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오신채 혹은 오훈채를 대승불교에서 금지하는 이유는 모두 자신과 대중들의 수행, 법을 설하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었던 것입니다.

[불교신문3601호/2020년7월25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