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가장 오래된 의좌형 불상…
수준 높은 조각양식 보여주고 있어”

보물로 지정 예고된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의 모습. 사진=문화재청
보물로 지정 예고된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의 모습.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청장 정재숙)“7세기 신라 전성기 수준 높은 조각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71일 밝혔다.

이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신라인들이 불국토로 만들기 위해 산 전체에 수많은 절터와 석불, 석탑 등을 조성했던 경주 남산 계곡 중 한 지류인 장창곡(長倉谷)의 정상부근 석실(石室)에 있던 불상이다. 관련 기록과 조각 양식 등을 통해 신라 시대 7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본존상은 1924년 무너진 석실에서 발견됐고, 앞서 먼저 옮겨져 민가에 보관돼 온 두 협시 보살상과 함께 완전한 삼존불 형식을 갖추게 됐다.

이 삼존상은 삼국 시대 미륵신앙과 신앙행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644(선덕여왕 13) <삼국유사> 따르면, 생의스님이 경주 남산 골짜기에서 발견해 삼화령(三花嶺)에 봉안한 기록도 전해진다.

특히 이 삼존상은 어린아이처럼 천진난만한 모습이 가장 특징적인 인상으로 꼽혀 삼화령 애기부처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삼국유사>에 기록된 원소재지인 삼화령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불상이 발견된 곳의 이름을 붙여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이라고 부르고 있다.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의자에 앉은 자세(의좌상)를 취한 본존 미륵불과 좌우 협시보살 입상으로 구성돼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의좌상 불상 중 시기가 가장 오래된 불상으로 희소한 예로 꼽힌다.
 

지난 1924년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좌상(본존불)이 발견 당시 모습. 사진=문화재청.
1924년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좌상(본존불) 발견 당시 모습. 사진=문화재청

본존상은 원만한 상호에 두 눈을 아래로 지그시 내려 사색에 잠긴 모습이다. 반면 두 보살상은 1m 남짓한 크기에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입가에 해맑은 미소 짓고 있다. 이러한 4등신 비례를 보이는 불·보살상은 중국에서 67세기 유행했고, 우리나라에서는 7세기 신라에서 주로 조성됐다.

문화재청은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경주 남산이라는 원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된 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의좌형 미륵삼존불이자 신라인들의 신앙생활이 반영된 대표작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마치 불심(佛心)과 동심(童心)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듯한 7세기 신라 전성기의 수준 높은 조각양식을 보여주고 있다며 보물 지정예고 사유를 밝혔다.

한편 문화재청은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을 진행한 후 수렴된 의견 검토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