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제18권 변상’
불자로서 갖는 초발심에 대한 결론


우측에는 지상 보리수좌 법회
좌측은 수미정상 세존·10보살
세존과 법혜 ‘같은 높이’ 독특

세존과 법혜보살의 크기와 좌대의 높이까지 같은 비율로 안배한 화엄경 제18권 변상도.
세존과 법혜보살의 크기와 좌대의 높이까지 같은 비율로 안배한 화엄경 제18권 변상도.

80화엄 변상도 제18권은 ‘명법품(明法品)’이다. <화엄경>에서 수미정상 법회의 여섯 개의 품(品) 가운데 마지막 품이며 세존께서 첫 번째 하늘인 수미정상에 올라 법회가 이뤄진 후 마지막 설법이자 불자들이 지녀야할 초발심에 대한 결론부분이다.

불자는 어떻게 머물러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과 설명이 ‘십주품’이었다면, 부처님은 어떤 삶을 사셨고 머물렀나에 대한 고찰이 ‘범행품’이었으며, 부처님의 삶은 초발심을 떠나지 않는 것임을 밝힌 것이 ‘초발심공덕품이었다.

명법품은 불자가 초발심을 지닌 채 어떻게 해야 무량공덕을 얻고, 일체 지혜의 수승함을 얻으며, 보살의 바른 지위에 들어가며, 위없는 보리인 구경(究竟)에 이르는지를 묻고 답하는 형식이다. 결국 수미산 법회는 초발심이 위없는 깨달음과 어떻게 상통하는 것인지 밝힌 법회였던 것이다.

법을 질문하는 정진혜보살의 ‘정진(精進)’이라는 이름에서 초발심의 나아갈 방법을 이미 제시하고 있었던 것인데, 법혜보살은 질문자의 의도를 정확히 간파해 크게 두 가지를 중심으로 법을 설하였다. 첫째는 십종법(十種法)이며, 둘째 바라밀(波羅蜜)이 중심 내용이다.

‘십종법’은 계율을 보호하여 지니는 것이며, 어리석음을 여의고 보리심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며, 마음이 질박하여 정직함을 좋아하는 것이며, 부지런히 선근을 닦아 정진하는 것이며, 발심한 것을 잊지 않는 것이며, 범부를 친근히 하는 것이며, 선한 업을 닦되 세간의 과보를 구하지 않는 것이며, 보살도를 구하는 것이며, 모든 선을 닦아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스스로 정진하는 힘을 관찰하는 것이다. 

제18권 변상도의 구도는 하나의 도상에 두 가지 상황을 구분 짓지 않고 담아냈다. 우측에는 지상의 보리수좌 법회를, 좌측은 세존께서 수미정상에서 10보살들과 함께한 모습을 조각하였다.

세존과 그 앞에서 법문하는 법혜보살을 마주보도록 배치시켰는데, 특이한 것은 명법품이 정진혜보살과 법혜보살이 법을 묻고 답하는 형식임에도 마치 법혜보살과 세존의 대화처럼 구도를 배치하였다. 세존과 법혜보살의 크기와 앉은 좌대의 높이도 같은 비율로 안배했으니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불교신문3584호/2020년5월23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