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온 나라 경제가 휘청거리는 가운데 이를 해결할 방법은 정부의 공적 지원밖에 없다는 소리가 정치권은 물론 경제계 언론 등에서 연일 쏟아져 나온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1인당 우리나라 돈으로 약 250여 만원의 현금을 지급한다고 하며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은 물론 중진국도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거론된다. 

국가 간 이동이 막히고 한 나라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왕래를 끊다보니 교통 여행 관련 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무급 휴직도 모자라 아예 직장을 떠나야 하는 해고자가 속출한다. 자영업자는 하루도 버티기 힘들다며 아우성이다. 민간 기업과 국민경제가 무너지다보니 지난해 세금으로 거둬들인 정부의 공적 지원밖에 기댈 곳이 없다. 우리나라도 선거 후에는 다양한 형태의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금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어려운 분야는 종교도 마찬가지다. 불교를 비롯한 천주교, 기독교는 두 달 넘게 법회와 미사, 예배를 중단했다. 특히 불교의 법회 중단은 그 기간과 강도가 다른 종교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고 철저하다.

해인사 범어사 등 영남의 유수 사찰은 아예 산문을 폐쇄한 바 있다. 큰 사찰 뿐만 아니라 화성 신흥사처럼 중견 사찰도 산문을 걸어 잠궜다. 신도들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정월 방생과 부처님오신날 봉축을 그대로 넘겼다.

정부가 주도하는 정책에 적극 호응하는 것이 종교활동보다 우선한다는 호국불교 정신을 이번에도 철저하게 발휘한 것이다. 몇 달 동안의 멈춤으로 사찰과 종단 역시 심각한 재정난에 봉착했지만 사찰과 스님들은 십시일반 구호금을 모아 재난 지역 주민을 돕고 방역에 매진하는 의료진을 격려하는데 보탰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잡히고 일상으로 돌아가면 그 후유증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우리 불교계 역시 쉽게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경제적 어려움을 맞게될 것이 분명하다.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지역을 살리고 침체된 관광 여행 활성화를 위해 사찰 순례를 지원하는 등 간접 지원이 있을 수 있다. 오랜 격리와 사회 단절로 인해 생긴 스트레스를 템플스테이를 활용해서 해결하는 방안도 있다. 

직접 지원책도 많다. 특히 사찰의 오랜 숙원인 전기료 해결은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전통사찰은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유산이면서 국민들에게는 휴식과 안식을 제공하는 쉼터다. 2000년 가까이 한결같은 문화와 풍습으로 사찰을 지키는 스님들 수행문화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해도 무방할 만큼 인류의 자산이다. 천년세월을 넘어 유무형의 문화를 간직한 국가는 흔치 않다. 전통사찰과 그 속에 사는 스님들 삶은 대한민국이 세계에 내놓을 자랑이다.

그런데 사찰은 전기요금 납부로 빚을 내야할 형편이다. 본사급 큰 절은 월 수천만원, 1년 6~7억원에 이르는 거액의 전기요금을 납부하느라 사찰 기둥이 흔들린다. 국가와 국민에 기여하는 바가 지대한데도 막대한 전기요금을 징수하는 불합리한 제도를 차제에 바꿔야 한다. 어려울 때 희생만 강요하고 끝난 후 나몰라라 하는 역사가 되풀이 돼서는 안된다.

[불교신문3575호/2020년4월18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