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Ⅱ’ 발간

동회랑 외곽영역 조사결과 담겨
건물 배치 · 구조, 성격 등 수록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연구가 황룡사지 회랑 외곽 발굴조사 내용을 담은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Ⅱ-동회랑 동편지구'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황룡사의 동회랑(東回廊) 동편지구가 고승들의 수행이나 수양을 위한 공간이었을 것이라는 최종 추정이 나왔다. 보고서의 표지 모습.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연구가 황룡사지 회랑 외곽 발굴조사 내용을 담은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Ⅱ-동회랑 동편지구'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황룡사의 동회랑(東回廊) 동편지구가 고승들의 수행이나 수양을 위한 공간이었을 것이라는 최종 추정이 나왔다. 보고서의 표지 모습.

사적 제6호 경주 황룡사의 동회랑(東回廊) 동편지구가 고승들의 수행 공간이었을 것이라는 최종 추정이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연구소(소장 이종훈)330황룡사지 회랑 외곽 발굴조사 내용을 담은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동회랑 동편지구>를 발간했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경주 황룡사지 발굴조사는 1976년부터 1983년까지 모두 8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6(1981)8(1983) 조사에서 본격적인 발굴이 이루어졌던 동회랑 동편지구의 조사내용과 출토유물을 수록했다. 이곳의 건물 배치나 구조 등은 학계에서도 알려진 것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번 보고서 발간 의미가 남다르다.

앞서 1984년 공개된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에서는 금당과 목탑, 종루와 경루 등 도량 중심부를 발굴해 확인한 유물들의 내용이 소개된 바 있다. 반면 <발굴조사 보고서 >은 면적 4300에 달하는 동회랑 동편 남북으로 길게 설치된 담장을 대상으로 조사됐으며, 외곽영역의 건물 배치와 구조, 성격 등을 조명했다.

학계의 관심을 끌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수록돼 이목을 끈다. 우선 황룡사 전체 도량의 외곽 경계로 추정되는 남북담장이 확인됐으며, 크고 작은 담장으로 구획된 7개의 독립된 공간도 드러났다. 각각의 독립된 공간 내부에서는 1~3개소 정도의 건물지가 밝혀졌고, 그 주변에서 기와 토기 등의 유물도 다량 발굴됐다. 특히 각 구역마다 다량의 등잔과 벼루가 출토돼, 이곳의 성격이나 용도를 짐작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될 전망이다.

경주 황룡사 동회랑 동편지구 발굴 모습 전경.
경주 황룡사 동회랑 동편지구 발굴 모습 전경.

담장으로 구획된 독립된 공간과 그 내부에 분포한 건축 유구의 구조와 배치 등도 처음으로 소개됐다. 크고 작은 건물지 12개소와 담장과 우물, 배수로 등 생활시설 등이 발굴됐으며, 이 과정에서 기와와 벽돌류, 토기자기류 등 신라와 고려 시대 유물 또한 다량 출토됐다. 이 중 보고서에는 485점의 유물을 선별해 수록했다.

이번 보고서는 40년 전 작성된 야장(野帳, 발굴현장에서 조사내용 등을 기록한 수첩), 일지, 도면, 사진자료 등도 담겨있다. 40여 전 발굴 조사 당시 쓴 조사 야장의 모습.
이번 보고서는 40년 전 작성된 야장(野帳, 발굴현장에서 조사내용 등을 기록한 수첩), 일지, 도면, 사진자료 등도 담겨있다. 40여 전 발굴 조사 당시 쓴 조사 야장의 모습.

무엇보다 당대 사찰에서 보이는 다원식(多院式) 가람구조와 황룡사지 가람구조를 비교·분석해 추정한 황룡사 동회랑 동편지구 구조와 성격이 상세히 설명돼 눈길을 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조사 결과 동회랑 동편지구가 담장으로 구획돼 매우 폐쇄적인 공간으로 보인다이를 미뤄 봤을 때 이곳은 개방적인 공공의 시설보다는 고승들이 수행이나 수양을 위해 독거하는 공간, 혹은 중국 당대 사원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의례 공간 등으로 최종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에는 40년 전 발굴조사 당시 작성된 야장(野帳, 발굴현장에서 조사내용 등을 기록한 수첩), 일지, 도면, 사진자료 등도 담겨있어 가치를 더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크고 작은 건물지 12개소는 물론, 담장과 우물, 배수로 등 생활시설 등이 함께 발굴된 결과도 수록됐다. 동회랑 동편지구 내 건물지의 모습.
이번 보고서에서는 크고 작은 건물지 12개소는 물론, 담장과 우물, 배수로 등 생활시설 등이 함께 발굴된 결과도 수록됐다. 동회랑 동편지구 내 건물지의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 진행될 황룡사지 북편(강당북편)의 조사내용을 담은 발굴조사 보고서가 추가되면 황룡사 전체 가람의 구조와 외곽영역의 성격이 더 분명해 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는 국내외 국공립 도서관과 국내 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기관에 배포됐으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http://www.nrich.go.kr/gyeongju)에서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