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님들은 삭발한 모습뿐만 아니라 입는 옷도 눈에 띄고 남다르다. 스님들이 특별한 옷을 입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스크리트어 ‘카사야’ 음역
한문권 ‘분소의’로 불러
세속에서 버린 천 주워
염색해 지어 입는 옷 의미


A    경전에 보면 부처님은 자신을 ‘집 없이 가사를 걸치고, 머리를 깎고, 고요한 마음으로 이 세상에서 사람들에게 집착하지 않고 유행하는 자’라고 소개합니다. 여기서 언급된 몸에 걸쳤다는 ‘가사(袈裟)’가 부처님을 비롯한 부처님의 제자들이 입었던 옷을 일컫는 이름입니다.

가사는 인도의 고어, 산스크리트어 ‘카사야(Kasaya)’를 그대로 음역한 것입니다. 이것을 번역하면 괴색(壞色)·탁색(濁色)·탁염색(濁染色)·염색이 됩니다. 이 가사를 한문권에서는 또 다른 이름으로 분소의(糞掃衣)라고도 합니다.

세속사람이 버린 헌 천을 주워 세탁하고 염색해서 지어 입는 옷이라 해서 가사라고 부르는 것인데, 이 버린 천은 똥을 닦는 헝겊과 같이 더러운 것이었으므로 분소의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가사는 헌 천의 조각조각을 기워 모아서 만든 옷이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납의(衲衣)라고도 했습니다.

부처님은 출가를 하자마자 머리를 먼저 삭발하시고 왕자로서 입었던 화려한 옷은 거지에게 나눠주고 자신은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버리는 곳으로 가서 죽은 이를 감쌌던 천을 모아 옷을 해 입었습니다. 이 옷이 여러 가지 천을 붙여 입다보니 알록달록 색이 안 좋아 탁한 잿빛 한 색으로 염색을 해 입었기 때문에 염색이라는 뜻인 카사야가 된 것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는 것이 여럿 있습니다. 그 첫째가 당연히 복장입니다. 예로부터 동서양을 불문하고 사람들은 자신을 과시하려 사모관대나 상투, 비싼 천으로 만든 풍성한 옷, 신발 등으로 자신의 부와 신분을 과시했습니다. 그러나 부처님은 이러한 태생 출신과 물질이 사람들의 빈부귀천을 구분 짓는 것을 단호히 거부하고 ‘위대한 출가’를 하셨던 것입니다.

궁전에서 입었던 부드러운 비단옷을 버리고, 시체를 감쌌던 더러운 천들을 꿰맨 가사를 입으셨습니다. 이는 생득적인 금수저의 삶을 과감히 거부하고 자신의 행위가 귀천을 만든다는 만민평등의 삶을 직접 실천하신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성계급으로 혹세무민하며 온갖 기득권을 누리려하던 바라문교에 강하게 저항하신 것입니다.

이에 따라 당시의 그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후대의 스님들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며 염색한 천, 가사를 입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인도에서는 이 가사를 사계절 내내 평상복으로 입을 수 있었는데, 북방으로 전래되면서 추운날씨에 따라 가사 안에 다양한 옷을 갖춰 입을 수밖에 없어서 나라마다 조금씩 특색있는 승복들이 생기게 됩니다.

[불교신문3567호/2020년3월21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