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2월27일 보물 제2060호 지정
“고려 전·중기 불교조각사 규명에 큰 도움”

보물 2060호 지정된 부여 무량사 석탑 출토 금동불상 4구의 모습. 좌측부터 금동보살좌상,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지장보살좌상-아미타여래좌상-관음보살좌상)
보물 제2060호 지정된 부여 무량사 석탑 출토 금동불상 4구의 모습. 좌측부터 금동보살좌상,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지장보살좌상-아미타여래좌상-관음보살좌상).

1971년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해체 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금동불상 4구가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227무량사 오층석탑 2층과 1층 탑신에 각각 봉안돼 있던 금동보살좌상 1구와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3구를 보물 제2060호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2층 탑신에서 발견된 금동보살좌상은 발견지가 분명한 고려 전기 보살상이다. 그간 자료가 부족해 연구가 미비했던 고려 전·중기 불교조각사 규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층 탑신에서 발견된 아미타여래삼존상은 조선 초기 불상의 뚜렷한 양식적 특징을 갖추고 있어 당시 탑 내 불상 봉안 신앙및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꼽힌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발견됐던 탑 안에 봉안된 아미타여래삼존상 중 구성과 도상이 가장 완전할뿐더러 규모도 크고 상태가 양호하다.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아미타여래좌상과 관음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으로 구성돼 있다.

문화재청은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은 비록 조성 배경을 알려줄 만한 기록과 명문은 없으나 발견지가 분명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며 "조형적으로도 조각기법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당시 불교 신앙 형태의 일면을 밝혀준다는 점에서 역사·학술·예술적 의미가 크다며 보물로 지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해 1231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바 있다.

2층 탑신에서 발견된 금동보살좌상의 모습. 자료 부족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고려 전·중기 불교조각사 규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층 탑신에서 발견된 금동보살좌상의 모습. 자료 부족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고려 전·중기 불교조각사 규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물이 출토된 부여 무량사 극락전 앞 오층석탑의 모습.
보물이 출토된 부여 무량사 극락전 앞 오층석탑의 모습.

한편 문화재청은 무량사 금동불상 이외에도 조선시대 함경도 마을과 군사적 요충지를 모두 13면에 모두 그린 작품으로 현재 북방 군현지도 가운데 정밀도와 완성도, 보존상태가 뛰어난 '관북여지도'가야 토기 제작의 높은 기술적 성과를 보여주는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를 함께 보물로 지정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