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수행기도 지침
천태대사 ‘법화삼매참의’
모본 삼아 편역해 출간

“신앙과 수행 두 날개 충족
해탈삼매 원천 손색 없어”

기도의 비밀-법화삼매참법

천태지의 스님 지음 / 각산스님 옮김 / 명상클럽
천태지의 스님 지음 / 각산스님 옮김 / 명상클럽

“삶이 고통스럽고 뜻대로 잘 안 풀릴 때는 최대한 빨리 자신의 ‘참나’를 만나, 업장소멸로 운명전환을 이뤄야 합니다. 그 ‘참나’를 만나는 천년 비법의 영험한 기도경이 바로 <법화삼매참법>으로, 깨달음의 필수인 해탈삼매가 동시에 구현되는 절묘한 수행법이기도 합니다.”

천태지의(538~597) 스님의 <법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를 모본으로 삼아 편역(編譯)한 <기도의 비밀-법화삼매참법>을 펴낸 각산스님(참불선원장)의 말이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대승불교권에서 1500여 년간 수행기도의 지침서가 되어온 법화삼매참법을 쉬운 우리말로 편집 번역한 책이다. 법화삼매참법은 한국불교 이념과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대승불교의 대표적 가르침인 <법화경>의 핵심인 ‘구원실성(久遠實成)’과 ‘회삼귀일(會三歸一)’에 기초하고 있다.

구원실성은 ‘누구나 스스로 마음 먹은 것을 믿으면 부처의 능력이 작용된다’는 뜻으로 <법화경>의 근간이 되는 가르침이다. 중생은 본래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물들지 않는 ‘대자유의 본질’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각산스님은 “불교 가르침이 아니고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것이 생로병사의 비밀”이라면서 “기독교는 신의 구원이 필요한 종교이지만, 불교는 그 누구의 구원의 손길이 필요 없는, 이미 스스로 구원되어 있음을 확인만(또는 믿기만)하면 되는 구원된 종교라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회삼귀일은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이 모든 사상과 이념의 분란과 투쟁을 내려놓고 열반의 세계를 향하는 일승(一乘)으로 원융무애한 대자유인으로 가게 하는 것이다. 승(乘)은 중생을 깨달음으로 안내하는 가르침이나 수행법이다.

성문승은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가르침, 연각승은 연기의 이치를 알게 하는 가르침, 보살승은 나와 남을 이익 되게 하는 가르침이다. 회삼귀일은 대립하는 모든 이론을 조화시키려고 한 원효대사(元曉大師,617~686)의 화쟁사상(和諍思想)과 근본정신에서 맥을 같이한다.
 

천태대사의 '법화삼매참의'를 모본을 삼아 우리말로 편역해 '기도의 비밀-법화삼매참법'을 펴낸 각산스님.
천태대사의 '법화삼매참의'를 모본을 삼아 우리말로 편역해 '기도의 비밀-법화삼매참법'을 펴낸 각산스님.

법화삼매참법의 핵심 용어에 해당하는 ‘삼매’는 불교 수행의 뿌리이다. 대승불교와 초기불교 경전에 서술된 삼매는 다양하지만, 깨달음의 성취를 공통점으로 한다. 법화삼매참법은 대승경전과 달리 삼매의 수행 방법과 증득까지의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설하고 있다.

각산스님은 “이는 천태지의 대사가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내공 덕분”이라면서 “<법화경>에는 ‘법화삼매’라는 단어만 거론될 뿐 구체적인 설명이 결여되어 있지만 법화삼매참법은 삼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각산스님은 “천태대사의 <법화삼매참의>는 삼매수행에 대한 참선의 기도경이요 수행지침서로, 참선을 중시한 천대대사의 본뜻을 잘 파악해야 한다”면서 <법화삼매참의>의 한 구절을 제시했다. “약의유미욕좌선(若意猶未欲坐禪) 갱단좌송경(更端坐誦經)…단(但), 사시좌선(四時坐禪) 부득전폐(不得全廢)” “만약 뜻이 미치지 못해 좌선을 하지 못할 때는 다시 단정히 앉아 독송하라. 단, 네 번의 좌선만은 전부 그만두는 일이 없어야 한다.”

각산스님은 “이처럼 천태대사는 항상 참선(좌선) 위주로 수행해야 하며, 만약 자리 잡고 앉았는데도 참선에 뜻이 없고 좌선하기 힘들 때는 독경과 참법(참회기도)을 행하라고 했다”면서 “부처님 말씀에 따라 계행을 지키고 마음만 밝히면 그 누구나 성불의 문에 들 수 있는데, 이를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 한다”고 강조했다.

각산스님이 펴낸 <기도의 비밀-법화삼매참법>은 △엄정도량(嚴淨道場) △육신청정(肉身淸淨) △삼업공양(三業供養) 등 모두 10장으로 이뤄졌다. 우리말로 옮기면서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각주를 자세하게 달고, 한문경전과 원어경전 등의 출처를 밝혀 이해를 돕고 있다.

스님은 법화삼매참법에 대해 “불교에 대한 신앙과 수행이라는 합리적 두 날개를 비교적 충족시키고 있다”면서 “약을 먹고 병이 나았으면 다시 약처방이 필요 없듯 스스로 숙업을 정화하고 기도를 졸업하게 하여 선(禪)에 이르게 하는 기도경의 원천으로 손색이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