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7법난이 발발한지 올해로 39주년이다. 1980년 10월27일 당시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 측 ‘합동수사본부 합동수사단’이 불교 정화 미명아래 조계종 스님 및 불교 관련자 153명을 강제연행해 수사하고, 3일 뒤인 10월30일 포고령 위반 수배자 및 불순분자를 검거한다는 명목으로 군경 합동 병력 3만2076명을 투입해 전국 사찰 및 암자 등 5731곳을 대상으로 일제히 수색한, 단군 이래 가장 악랄했던 훼불사건이다. 

조선 억불 500년 동안, 일제 36년 동안에도 볼 수 없었던, 역사에 유래를 찾기 힘든 극악무도한 행위를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할 의무를 지닌 국군이 자행했다. 자국의 종교인과 종교시설을 적으로 간주한 천인공노할 행위였다. 언론도 책임이 크다.

이들은 앞다퉈 불교를 매도하고 스님들을 비하하며 신군부의 천인공노할 행위를 전파하는데 앞장섰다. 스님들은 사찰에 들이닥친 수사관들에 의해 끌려가 모진 고문을 받았다. 많은 스님이 고문 후유증으로 평생 고통 속에서 살다 입적했으며 사기꾼 파렴치범으로 매도당했다. 종단은 도적 소굴로 낙인찍혔다. 

만행이 자행되고 40년이 다 됐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진실이 너무 많다. 법난을 최종 지시한 책임자가 드러나지 않았다. 당시 보안사령관으로 법난의 직접 책임 당사자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사과는 했지만 여전히 최종 책임자는 드러나지 않았다. 전두환씨가 지시를 내렸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그의 입에서는 단 한 번도 이를 시인하거나 참회한다는 말이 나오지 않았다.

불교계 내부 부역자들의 실체와 역할도 밝혀내야 한다. 수사 실무에 동원된 군승, 보안사에 근무했던 불자, 보안사령관에게 기획서를 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자법무관이 불교 내부 부역자로 추정된다. 이 중 군승의 이름과 역할은 어느 정도 드러나고 보안사 실무진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들은 사과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역할을 축소하거나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는 식으로 발뺌에 급급했다. 사법 단죄는 피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삼보를 능멸하고 훼손하는데 일조한 태산같이 무거운 업보는 면치 못할 것이다. 그 업을 조금이라도 씻는 방법은 진실을 드러내고 참회하는 길 뿐이다. 

10월30일 전국에 계엄군을 동원하여 사찰을 침탈해 군홧발로 법당을 짓밟고 스님과 불자를 강제로 끌고 갔던 군에 대한 책임도 제대로 물어야 한다. 특히 군을 동원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계엄위원회 기획관리실장이 육사출신 기독교인 회장을 역임한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이 법난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밝혀져야 한다.

그의 논리는 1960년대 불교 군승 파견을 반대하는 기독교 측 논리와 정확하게 같았다. 사찰은 범죄자 은신처이고 불교는 공산주의와 같은 무신론이라는 왜곡된 인식을 국군이 언제 폐기했는지 아니면 여전히 고수하는지 밝히지 않으면 제2의 10·27 법난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든 진실이 밝혀져 그간의 아픔에서 벗어나 미래를 위한 밝고 희망찬 마음으로 내년 40주년을 맞이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한다.

[불교신문3530호/2019년10월30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