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동안거 ‘위례 상월선원 천막결사’

‘불교 중흥‧변화’ 발원
위례 포교도량 부지서
천막 치고 고행 정진

묵언 하루한끼 옷한벌
‘기한발도심’ 겨울안거
자승스님 등 9인 참여

산중의 선방이 중생의 삶터로 내려와 그 속에서 치열하게 용맹정진하는 새로운 형태의 결사가 올겨울 우리 사회와 한국불교를 뒤흔든다. 한겨울 혹한 속에서 한 겹의 천막에 의지해 겨울안거를 나며 한국불교 중흥을 발원하는 ‘야외 천막 90일 고행 결사’가 오는 11월 입재할 것으로 알려져 출세간은 물론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춥고 배고픈 가운데서 도심이 일어난다는 ‘기한발도심(飢寒發道心)’을 연상케 하는 이 결사는 조계종이 신도시 포교를 위해 종단 차원에서 처음으로 확보한 위례신도시 포교도량 부지에서 9명의 스님들이 참여한 가운데 동안거를 나는 고행 정진이다. 
 

한국불교 중흥을 발원하는 ‘야외 천막 90일 고행 결사’가 오는 11월 결제할 것으로 알려져 출세간은 물론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결제대중은 모두 9명. 사진 위 왼쪽부터 정묵스님, 자승스님, 동광스님, 성곡스님, 진각스님, 호산스님, 심우스님, 재현스님, 도림스님.
한국불교 중흥을 발원하는 ‘야외 천막 90일 고행 결사’가 오는 11월 결제할 것으로 알려져 출세간은 물론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결제대중은 모두 9명. 사진 위 왼쪽부터 정묵스님, 자승스님, 동광스님, 성곡스님, 진각스님, 호산스님, 심우스님, 재현스님, 도림스님.

결사는 기간 중 퇴방할 경우 더 이상 출가수행자로서 살지 않겠다는 의미의 제적원을 총무원에 제출하는 등 결연한 의지와 불퇴전의 자세로 임할 예정이다. 안거 기간 중 7주야 동안 잠을 자지 않고 수행하는 용맹정진보다 엄격한 청규에 따라 진행된다.

결사 기간 내내 하루 한끼 최소한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고 옷 한 벌만 허용되며 삭발과 목욕을 할 수 없는 등의 청규에 따라 빗장을 걸고 하루 14시간의 정진을 90일 동안 이어가는 정진 방식이다. 외부인 접촉은 물론 대중공양도 받지 않으며, 일체 정진처를 벗어날 수 없다. 

결사가 진행되는 천막 선원의 이름은 서리를 맞으며 달을 벗삼아 수행하는 정진처라는 의미의 상월선원(霜月禪院)이다. 결사에 방부를 들인 대중이 함께 지은 이름이다. 전 총무원장 자승스님과 90안거를 난 수좌 정묵스님, 서울 약사암 일심선원 한주 성곡스님, 48안거의 무연스님, 중앙종회 사무처장 호산스님, 중앙종회의원 진각스님, 심우스님, 도림스님, 전 중앙종회의원 재현스님 등이 주인공이다.

서울 봉은사 주지 원명스님과 성남 봉국사 주지 혜일스님, 남양주 묘적사 환풍스님 등도 외호대중으로 이름을 올렸다. 올곧은 수행을 이어온 납자는 물론 총무원장을 두 번이나 역임하는 등 종단과 사찰의 주요한 소임을 지낸 스님들이 함께 한국불교에 변화의 바람을 넣고자 발원한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천막 결사는 전 총무원장 자승스님이 ‘서울역 노숙 정진’의 뜻을 밝히면서 추진됐다. 총무원장 소임을 내려놓자마자 백담사 무문관에 들어 세상을 놀라게 했던 자승스님은 두 번의 무문관 수행을 거쳐 지난 2월 생명을 걸고 세상과 호흡하는 수행에 나서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이에 수좌와 중앙종회의원들이 동참의사를 밝히며 천막 결사로 구체화됐다. 한때 탑골공원으로 바뀐 원각사지에서의 풍찬노숙(風餐露宿)을 추진했으나 포교의 상징성이 있는 위례신도시 포교도량 부지로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이번 결사가 주목받는 것은 산중의 수행처 대신 위례신도시를 정진처로 삼음으로써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세간으로 나아가는 정진이라는 상징성을 담은데다 한겨울 추위 속에서 극한의 고행 정진을 택한 데서 알 수 있듯이 결사에 대한 결연한 의지가 엿보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 중흥과 정형화된 수행풍토의 변화를 모색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이번 결사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지고 있다.

지객 소임을 자처한 호산스님은 “결사에 참여하는 대중 스님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살아왔음에도 이를 한 차원 뛰어넘는 수행이 필요하다는 갈증을 품고 살고 있었던 것 같다”며 “출가수행자로서 근본과 출가정신을 다잡고 한국불교와 종단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결사로 만들기 위해 대중 스님들과 함께 죽기를 각오하고 정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봉영 기자 bypark@ibulgyo.com
 

■ 상월선원 결제대중 9명은?

90안거 성만한 구참 수좌부터
신참까지 열망 뜨거운 수행자
“목숨 건 정진 불퇴전의 각오”

결사에 동참하는 스님은 9명으로, 전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 선덕을 맡은 정묵스님, 선원장 동광스님, 한주 성곡스님, 입승 진각스님(중앙종회의원), 지객 호산스님(중앙종회 사무처장), 심우스님(중앙종회의원)과 전 중앙종회의원 재현스님, 도림스님(강화 정수사 주지) 등이다. 혼자 무문관에서 수행하는 것과 달리 천막묵언결사는 대중생활을 하면서 전체가 묵언을 해야 한다.

대중이 한 공간에서 정진하면서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스님들은 방부와 함께 제적원을 제출하기로 해, 불퇴전의 각오를 보여줬다. 그만한 마음가짐이 아니고서는 이번 동안거를 성만하기 어렵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호산스님은 “한 명 한 명 모두 대단한 선객”이라며 “결사에 대해 얘기했을 때 기꺼이 함께 하겠다고 나섰다. 건강만 생각했다면 참여하지 못했을 텐데 아마도 수행에 대한 갈증이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천막묵언결사를 제안한 자승스님은 동화사, 봉암사 선원 등에서 수선안거했고, 총무원장 퇴임 후 맞은 두 차례 동안거는 백담사 무문관에서 정진했다.

대중을 아우를 정묵스님은 10대 때 출가해 지금까지 제방선원에서 90안거 이상을 성만한 종단의 대표수좌다. 수좌 스님들 사이에서는 ‘사바 생불’이라고 불릴 정도로 남다른 정진력을 보여준다. 스님은 40대 때 제주 남국선원 무문관에서 3년간 두문불출하며 목숨 건 정진을 했고 또 백담사 무문관, 진귀암 무문관에서도 수행하는 등 화두타파를 일념으로 출가자의 길을 걷고 있다.

동광스님은 호산스님과 통도사승가대학을 함께 다녔다. 오랫동안 함께 수행한 수좌로, 48안거를 성만했다고 한다.

결사대중 가운데 최고령인 성곡스님은 올해 세수가 일흔셋이다. 오랜 기간 수행하며 40안거를 성만한 스님은 현재 서울 상계동 약사암에 일심선원을 운영하고 있다.

진각스님은 1998년 수계를 한 후 지금까지 30안거를 성만했으며, 올해 출가한지 40년 된 호산스님은 봉암사 해인사 등에서 수선안거했고, 상원사 용문선원에서 꾸준히 정진해왔다. 또 재현스님은 양평 상원사 주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호산스님과 함께 선원에서 공부해 왔다.

제방선원에서 20안거를 성만한 심우스님은 “누군가에게 뭔가 보여주겠다는 마음으로 동참하는 게 아니다. 결제하는 스님들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자신과의 수행,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방부를 들인 것”이라며 “부처님도 깨닫기 전 뼈만 앙상하게 비칠 정도로 고행을 하며 수행심을 보여주셨는데 저 역시 그런 부처님 발자취를 따라 정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1993년 정여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도림스님은 처음으로 결제를 하는 신참납자다. 스님은 “평소 존경하는 선배 스님을 모시고 결제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지금은 정진 잘 하고 나오겠다는 마음 뿐”이라고 말했다. 

정진기간 중 외호는 서울 봉은사 주지 원명스님과 성남 봉국사 주지 혜일스님이 맡는다. 총도감 혜일스님은 “강진 백련사에서 무문관을 개원해 3년간 외호하고 정진해온 경험을 토대로 수행결사에 들어간 9명 스님이 건강하게 동안거를 해제할 수 있도록 외호하겠다”고 말했다.

어현경 기자 eonaldo@ibulgyo.com


■ 왜 위례 신도시인가? 

오는 11월11일 동안거 결제가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중의 관심이 위례신도시로 향하고 있다. 서리를 맞고 달을 벗 삼아 정진한다는 상월선원(霜月禪院)이 이곳에 들어서기 때문이다. 평소 보기 힘든 수행공간이 이곳에 세워지게 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명의 스님들은 부처님께서 길 위에서 깨달음을 얻고 생의 마지막까지 법을 펼치신 것처럼, 기존 상식을 뛰어넘어 도심 속에서 야외 천막결사를 하기로 뜻을 모았고 여러 후보지 가운데 위례신도시를 결사 장소로 최종 낙점했다. 

위례신도시 종교용지는 신도시 포교 거점 도량 건립이라는 종단 차원의 원력이 녹아있는 공간이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탈종교화가 가속되면서 발 빠른 포교전략을 세우고 있는 이웃종교에 비해, 불교는 미래세대를 위한 전략이 부재하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당시 총무원 집행부는 신도시 포교에 대한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렸고, 그해 부지 계약을 체결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신도시 종교용지는 개별사찰이나 교구본사 단위에서 매입했지만, 종단 차원에서 접근해 매입한 것은 첫 사례였다. 이후 2017년 8월 해당 부지에서 종단 안팎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기공식을 갖고 ‘문화의 조화로움과 삶의 지혜가 공존하는 도시의 상징’으로 만들어 갈 것을 발원했다. 

이제 곧 본격적인 거점 도량 건립불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스님들은 백척간두에서 한걸음 더 내딛겠다는 치열한 정진으로 깨달음을 구하고, 이곳이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성지로 자리매김하길 발원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불자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이 찾는 도량으로 자리 잡았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다. 

외호 대중으로 동참하는 서울 봉은사 주지 원명스님은 “한국불교 쇄신을 염원하는 스님들께서 수행 정진하는 기간 동안 여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잘 살피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봉은사 신도 대중들과 현장을 찾아 함께 정진하며 한국불교 중흥의 길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홍다영 기자 hong12@ibulgyo.com

[불교신문3526호/2019년10월16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