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성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다. ‘나랏말싸미’는 그 한글의 원리와 창제의 뒷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영화에는 세종과 신미스님이 나란히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감독(조철현)은 영화 시작 전 ‘훈민정음의 다양한 창제설 가운데 하나를 영화적으로 재구성했다’는 자막을 보여준다. 신미스님의 역할에 대한 시비를 피하려는 의도였지만 영화는 개봉직후 역사왜곡의 논란에 휩싸였다. 

논란의 핵심은 이렇다. 한글창제는 세종대왕이 주도했다는 것이 정설인데 영화는 신미스님이 모든 것을 담당했다는 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산스크리트 문자나 파스파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한글의 독창성을 폄훼하는 것이다, 아무리 영화적 설정이라지만 신미가 왕에게 예의도 갖추지 않고 거침없는 말을 내뱉는 장면 등은 성왕인 세종의 위상을 격하시켰다 등이다.

옹호론도 있다. 세종이 아무리 천재적 군주라 해도 혼자 한글을 창제하기는 어렵다는 것, 새 글자를 만들기 위해 여러 소리글자를 참고했을 것은 당연한 상식이라는 것, 따라서 한글창제에는 집현전 학자들뿐만 아니라 외국어문에 능통한 학승들이 참여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 추론이라는 것 등이다. 역사가 밝히지 못한 뒷면을 영화적 상상으로 채운 것을 시비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는 지적도 있다.

불교의 입장에서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도 눈에 띈다. 댓글 중에 특정세력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거부감이나 질투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증거가 하나 있다. 한글창제 이후 언문보급에 앞장선 집단은 불교라는 사실이다.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제작하고 간경도감을 설치해 불경언해사업을 주도한 것은 왕실과 불교계였다. 그런 불교라면 한글창제에 어떤 역할이든 했을 것이다. 

숭유억불의 시대, 임금이 신미에게 ‘선교종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고 시호한 것은 이유가 있지 않겠는가. 지난 주말 영화를 보다 든 생각이다.

[불교신문3509호/2019년8월10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