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보시를 잘 하니 
천신께서 늘 지켜주시리이다 
하나 베풀면 받는 것은 만 배 
편안히 즐거우며 오래 살리다”

- ‘삼국유사' 흥륜사 점개스님

아들에게 이 말을 들은 어머니는 
‘좋다’고 하고, 밭을 시주했다
그렇다면 아들 대성은 
과연 큰 복을 받았을까? 

요즘 사람들이야 믿을 리 없지만 옛날이야기는 때로 우리를 깊은 감동에 젖게 한다. <삼국유사>에는 신라 신문왕 때 사람 김대성에게 그런 이야기가 전해 온다. 김대성은 불국사와 석굴암을 만든 주인공이다. 

모량리에 사는 가난한 여자 경조(慶祖)에게 아이가 있었는데, 머리가 크고 이마가 넓기를 마치 성 같아 이름을 대성(大城)이라 했다. 집안이 가난하여 키울 수 없게 되자, 재산이 많은 복안(福安)의 집에 고용살이로 들여보냈다. 그 집에서 밭 몇 도랑을 나눠줘 대성의 어머니가 먹고 입는 데 쓰도록 했다. 그 때 점개(漸開)스님이 흥륜사에서 육륜회(六輪會)를 열려고 복안의 집에 와서 시주해 줄 것을 권했다. 복안이 베 50필을 시주하자, 점개스님이 주문으로 축원을 해 주었다. “그대가 보시를 잘 하니/ 천신께서 늘 지켜주시리이다./ 하나를 베풀면 받는 것은 만 배/ 편안히 즐거우며 오래 살리이다.”

시일득만(施一得萬) 곧 ‘하나를 베풀어 만 배를 얻다’는 말이 여기서 나왔다. 주인집이 절에 크게 시주하고 복 받는 장면을 목격했는데, 가난한 대성에게 여러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곧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말했다. “제가 문에서 스님이 염송하는 소리를 들었어요. 하나를 시주하면 만 배를 받는다는군요. 저를 생각해 보니, 분명 쌓아 놓은 선행이 없어 지금 이렇게 고생하는 것 같아요. 이제 또 시주하지 않으면, 다음 세상에서 더욱 힘들어지겠지요? 작지만 저희가 가진 밭을 법회에 시주해서, 다음 세상에 갚아주시길 바라는 게 어떨까요?” 아들의 말을 들은 어머니는 “좋다”고 하고, 밭을 점개스님에게 시주했다.

그렇다면 과연 대성은 큰 복을 받았을까? 복은커녕 얼마 있지 않아 대성이 죽었다. 어머니로서는 황당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대성이 죽은 그 날 밤, 신라의 재상인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하늘에서 소리가 울렸다. “모량리의 대성이라는 아이가 이제 네 집에 의탁하러 온다.” 

집안사람들이 크게 놀라, 사람을 시켜 모량리의 대성을 찾아보게 하니, 과연 그날 죽었다. 하늘이 울리면서 김문량의 아내가 임신하여 달이 차자 아이를 낳았는데, 아이는 왼쪽 손을 꽉 쥐고 펴지 않았다. 7일 만에 열었는데, 쥐고 있던 금빛 간자에 ‘대성’이라는 두 글자가 새겨 있지 않은가. 모량리의 대성이 재상의 아들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자신의 정체를 안 대성은 전생의 어머니를 집안으로 모셔다 함께 봉양했다. 전세와 후세의 부모를 모두 섬기는 특이한 이야기인 셈이다. 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짓고, 전세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을 지었다. 

시일득만, 곧 하나를 베풀어 만 배를 얻었다는 대성의 이야기가 어찌 그에게만 해당될까. 지금 세상에서도 이런 마음을 가지고 살며, 넉넉하든 그렇지 못하든 실천에 옮기는 사람이 있다. 가진 것이 많아서만 아니다. 

시장에서 노점상으로 평생 모은 돈을 이웃 학교의 발전기금으로 내놓는 분이 있지 않은가. ‘황금돼지해’라는 올해, 베풀어서 행복한 사람이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 보는 것이다. 굳이 만 배를 돌려받으리라는 계산을 하지 않고서라도 말이다.

[불교신문3462호/2019년2월6일자] 

고운기 시인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