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1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실서

불교는 말을 중시 여긴다. 세 가지 업 중에 말이 들어갈 정도로 불교는 언어 구사를 중요하게 바라본다. 그래서 나쁜 말, 남을 속이고 이간질 하는 행위를 경계하고 바른말 좋은말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

불교평론은 말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오는 31일 오후 1시부터 6시 까지 서울 조계사 한국불교역사기념관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좋은 말 나쁜 말 그리고 불교’라는 주제로 열리는 심포지엄에서는 말에 관한 정의부터 말로 인해 생기는 업을 살펴보고, 선에서 강조하는 침묵 이심전심의 뜻,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한 거친 말 문화를 극복할 불교적 대안 등을 모색한다.

불교평론은 “최근 우리 사회는 말과 글의 과격화 폭력화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언어폭력과 거짓말, 폭력수준의 댓글문화 등은 한국사회의 도덕적 문화적 품격을 손상시키고 있다.”며 “저질화 폭력화되는 언어문화의 원인을 진단하고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심포지엄은 2018 만해축전의 일환으로 열린다.

다음은 심포지엄 주제와 발제자 

기조발제 / 말이란 무엇인가............................................................이도흠(한양대 교수)

초기경전에 나타난 구업(구업)의 유형과 극복 방안............................한성자(동국대 교수)

말과 침묵, 그리고 이심전심의 소통.................................................윤종갑(동아대 교수)

한국사회의 거친 말, 거짓말의 원인과 불교적 대안............................허우성(경희대 교수)

사회연결망서비스(SNS)의 말문화와 불교...................................박수호(중앙승가대 교수)

청소년 언어문제에 대한 불교적 대안.........................................신희정(창원중앙고 교사)

말이 세상을 바꾼다.................................................................박병기(한국교원대 교수)

사회; 이혜숙 박사(금강대) 서재영 박사(불광연구원)

문의; 02-739-5781(불교평론 편집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