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만년 역사의 ‘나물’…우리는 ‘채식민족’

우리 민족 삶과 동고동락한 채식
역사적 문헌 통해 채식민족 ‘증명’
채식은 미래문제 해결할 ‘해법’
우리민족이 채식문화 주도해야… 

채식과 함께 태동한 우리 민족이 미래 먹을거리 대안으로 급부상한 채식문화를 주도해야 한다. 아래 사진은 ‘채소의 역사, 인류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는 정혜경 호서대 교수 모습.

인간에게 음식이란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니다. 그 나라 사람들이 먹는 음식을 통해 고유한 문화와 사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민족성, 역사성, 정체성까지 내포하고 있다. 곧 음식이 그 나라를 보여주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민족의 음식에는 어떠한 함의가 숨겨져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우리 민족은 ‘채소의 민족’이라고 답하는 이가 있다. 바로 최근 <채소의 인문학>이라는 책을 쓴 정혜경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이다. 정 교수는 지난 10월17일 재단법인 대한불교진흥원이 주최한 10월 열린 강좌에서 ‘채소의 역사, 인류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했다. 

먼저 정 교수는 “채소는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져온 중요한 음식이자 문화였으며, 앞으로도 인류의 지속 가능한 먹을거리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또한 우리 민족 고유의 나물을 즐겨먹는 채식문화가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 체계화되고 깊이 있는 채식 역사와 문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우리 민족의 음식이 기본적으로 채식을 즐겨했다는 역사적 근거는 어디서 찾아 볼 수 있을까. 정 교수는 ‘한국인의 채소사(史)’를 살펴보기 위해 선사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 설명했다. “불을 사용하기 전 선사인들은 보통 자연식품을 주로 채취해 먹었으며, 도토리, 밤, 마와 같은 열매와, 채소, 과일을 먹었을 것이다. 구석기 시대에 불이 이용되고 타제석기 등이 발굴된 것으로 비춰 봤을 때 이때부터 자연물을 채취해서 요리를 시작했고 신석기가 되면서 비로소 농경생활을 하며 채소를 재배했을 것이다.” 이어 삼국시대에는 무, 상추, 가지 마늘 등이 주요 부식재료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많은 종류의 채소를 경작하게 된다. 이후 드디어 불교를 국교로 정한 고려시대에 들어서게 된다. 정 교수는 이 시기를 “화려한 채식문화가 꽃피운 시간”이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살생을 금하는 불교의 계율적인 요소가 우리 민족의 식습관과 어우러지면서 비로소 다채로운 채식전통이 기틀을 잡았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각 도의 지리, 풍속, 인물 등을 자세하게 기록한 <동국여지승람>에서 지역별로 산출된 채소의 종류가 풍부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밖에도 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는 미나리, 무순, 죽순, 오이 등 15가지의 채소를 먹었다고 설명돼 있어 조선왕실에서도 채식을 즐겨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문집 등에서 채소가 단순히 먹을거리 이상의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채식은 먹을 것이 궁핍했던 민초들이 살아 있게 만든 ‘생명줄’이었다. 

그렇다면 왜 채식을 해야 하는가. 단지 채식이 우리 민족의 삶과 궤적을 함께 했다고 무조건적으로 권유하는 것은 맞지 않다. 그보다 채식은 과도한 육식으로 병들어가는 우리의 몸을 치유할 수 있는 음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정 교수가 역설한 내용이다.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하루 채소를 400g 정도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청소년기(13~19세)와 청년기(20~29세)에는 212.9g으로 절반 정도밖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연령대 역시 하루 채소 권장량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의 식생활의 불균형을 의미하며 이는 비만이나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육식위주의 식사는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주범으로 꾸준히 지적돼왔다. 미국 환경분야 연구기관 월드워치연구소는 축산업이 전 세계 온실가스의 51% 이상을 배출한다고 지적했다. 육류 소비가 늘면서 목초지 마련이나 동물 사료를 재배할 농지 개간을 위해 삼림 벌채가 이뤄지며 나무들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에너지고갈, 도시화, 자본주의, 기아 문제 등 우리 미래에 닥친 문제의 핵심은 우리가 선택한 음식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래 먹을거리의 유일한 해법인 채식을 ‘인류의 미래’라고 표현했다. 이와 함께 채식과 함께 살아온 우리민족이 그 미래를 주도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불교신문3344호/2017년11월11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