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진실명경 역해

중암스님 / 운주사

불교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은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과 함께 우리에게도 매우 친숙한 부처님이다. 특히 티베트 불교에서는 신앙과 수행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고 본다. 때문에 170개의 게송으로 이루어진 <문수진실명경>은 문수보살의 심오한 본성과 공덕 등을 찬탄하고 있는 티베트 불교에서 근간이 되는 경전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그 뜻이 심오하고 난해해 아직 국내에서는 아직 낯선 경전이기도 하다. 네팔의 양라쉬 성지에서 티베트 경전을 번역하며 정진하고 있는 중암스님이 최근 인도와 티베트 주석서들을 참조해 방대한 설명과 각주를 달아 놓은 <문수진실명경 역해>를 펴낸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문수진실명경>은 원래 하나의 독립된 경전이 아니라 <대환망속>이라고 부르는 경전의 한 품(品)이다. 그러나 그 내용이 방대해 별도로 분리해 하나의 독립된 경전으로 널리 전파했다. 이는 <법화경>의 보문품을 별도로 분리해 <관음경>이라고 부르는 것과 흡사하다.

예로부터 인도와 티베트의 성자들이 이 경전을 일상의 일과로 독송했다. 또한 여래의 지신(智身)을 밝히는 보석 거울과 같은 경전으로 여기면서수행과 해탈의 지남으로 삼아왔다. 18세기에 이 경전의 주석서를 쓴 용진 예시걜챈(智幢)은 “인도와 티베트의 선대의 현자와 성취자들은 이 딴뜨라 왕을 수행의 핵심으로 간직한 뒤 널리 전파했다”면서 “특별히 법왕 쫑카빠 대사는 이것을 수행의 핵심으로 간직한 뒤 날마다 새벽이면 이 문수진실명송을 3차례에 걸쳐서 독송하되 끊어짐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러한 전통은 현대에까지 이어져 티베트 불교에서는 종파를 떠나 모든 수행자들이 수지 독송하고 있다.

중암스님은 “문수진실명송은 ‘모든 딴뜨라의 왕’으로 불리지만 그 내용이 심오하고 어려워 설령 배움과 깨달음이 있는 자들 또한 선뜻 주석하기를 기피하는 경전”이라며 “그럼에도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이 책을 번역, 출간하는 것은 이 경전의 참의미가 알려져야 할 시절이 도래했고, 지력과 서원을 갖춘 이들에게 수행의 길잡이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라고 의미를 밝혔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