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말로써 그치지 않고 

행동을 유발한다

말하는 태도나 버릇을 

‘말씨’라고 하며

이 말씨가 불러온 행동이 

성공과 실패를 가름한다

향기로운 말을 하는 사람은 

그 행동 또한 맑고 향기로우며 

그래서 그 삶이 참으로 

행복해지는 것이다

말이란 마음이 밖으로 표출된 것이다. 그래서 말을 통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주역>에서 말하길 “장차 배반할 사람은 그 말에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묻어 있고, 마음속으로 의심하는 사람은 그 말이 이리저리 갈라지며, 선하고 좋은 사람은 말이 적고, 조급한 사람은 말이 많으며, 선한 척 속이는 사람은 그 말이 들떠있고, 지조를 잃은 사람은 그 말이 비굴하다”고 했다.

말은 말로써 그치지 않고 행동을 유발한다. 말하는 태도나 버릇을 ‘말씨’라고 하며, 이 말씨가 불러온 행동이 성공과 실패를 가름한다. 즉, 말에 배려심이 녹아 있으면 존경을 받게 되고, 말이 부드럽고 따뜻하면 이해와 공감을 불러일으켜 인간관계가 좋아지고, 그러면 하는 일이 모두 잘 풀리게 된다. 그래서 공자는 “군자가 집안에 있으면서도 하는 말이 선하면 천리 밖에서까지 호응하는데, 하물며 가까운 곳에서야 말해 무엇 하겠는가?”라고 했고, 옛 우리 속담에서도 “한 마디 말로써 천 냥 빚을 갚는다”고 했다.

반면에 말에 진정성이 없으면 불신을 받게 되고, 말에 배려심이 없으면 서운함을 불러일으키고, 말이 거칠고 매정하면 반감을 사게 돼 인간관계를 틀어지게 함으로써 하는 일이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남을 해치는 말은 자신의 몸을 다치게 하는 도끼이고, 제 혀를 베는 칼이라고 했다. 

나쁜 말을 구업(口業), 즉 입으로 짓는 죄라고 한다. <천수경>에서는 망어(妄語)와 기어(綺語), 양설(兩舌)과 악구(惡口)를 경계하도록 설하고 있다. 망어란 진실하지 않고, 무책임하며, 이치에 어긋나는 거짓말이다. 기어란 도리에 어긋나는 것을 그럴듯하게 꾸며서 남을 속이는 말이다. 양설이란 혀가 두 개라는 뜻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가 멀어지도록 이간질하는 말이다. 악구란 남의 흠이나 약점을 들춰내 헐뜯거나, 폭언과 욕설을 하거나, 남에게 재앙이나 불행이 닥치도록 저주하는 말이다.

구업의 과보는 무섭다. 내가 남을 해치는 말을 하면 그 말은 자신을 베는 시퍼런 칼날이 돼 돌아오게 된다. 그러므로 말을 할 때는 상대방의 마음을 다치지 않게 신중히 해야 한다. 특히,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람에게는 더욱 말을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가까운 사이일수록 말 때문에 마음을 상하기 쉽기 때문이다. 

말을 가장 조심해서 해야 할 사람은 정치인이다. 정치는 말로 하는 것이므로 정치인의 말에는 진정성과 품격이 있어야 한다. 정치인의 말에 진정성과 품격이 없으면 국민들로부터 공감과 지지를 얻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을 함부로 하는 정치인들이 적지 않다. 그들 중에는 국민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서 막말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현명한 국민들은 혐오감과 거부감을 주는 막말을 듣고 그 정치인의 마음이 얼마나 부도덕하고 천박한지를 꿰뚫어 보게 된다. 막말을 마구 쏟아내는 정치인! 그는 그가 쏟아낸 막말 때문에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해 정치생명이 끝나게 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문수동자게’에 나오는 “부드러운 말 한 마디 미묘한 향이로다”라는 게송처럼 부드럽고 향기로운 말을 하는 사람은 그 행동 또한 맑고 향기로우며, 그래서 그 삶이 참으로 행복해지는 것이다.

[불교신문3314호/2017년7월15일자] 

최탁환 논설위원·시인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