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도쿄대 ‘양국불교사’ 교차출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과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가 학술교류의 일환으로 <한국불교사>와 <일본불교사>를 양국에 한국어와 일본어로 교차 출간해 주목된다. 사진은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 주최로 지난해 6월 일본 도쿄 일원에서 학술세미나, 세계평화기원법회 등을 통해 다양한 교류사업을 펼친 ‘제37차 한일불교문화교류대회’.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

연구교류 따른 ‘성과물’

30년 만에 일본에 펴낸

‘한국불교사’ 의미 깊어

“상호 공감대 확산 기대”

가깝고도 먼 이웃인 한국과 일본. 오랜 역사를 같이해 왔지만 상호간에 애증이 엇갈리는 것만은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관련 협의 재협상이 화두로 떠오르는 등 새로운 한일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동국대와 도쿄대가 각각 <한국불교사>와 <일본불교사>를 상대국 언어로 동시에 출간해 주목받고 있다.

일본어로 읽는 <한국불교사>와 한글로 만나는 <일본불교사> 두 책의 교차 출판은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과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가 지난 2012년부터 연구교류를 활발하게 진행한 성과에 따른 것으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 연구단이 기획했다. 특히 일본에서 출간된 <한국불교사>는 1987년 가마타 시게오의 <조선불교사> 이래 30년 만에 한국불교 역사를 다룬 책인 만큼 의미가 더욱 크다는 평이다.

한국불교사

김용태 지음, 사토아쓰시 옮김/ 춘추사

<한국불교사>는 서론에서 불교성립과 인도불교의 전개, 불교의 동아시아 전래와 종파의 성립을 다룬 후 시대 순으로 한국불교 역사를 기술했다. 불교의 수용을 시작으로 불교가 확산된 삼국시대, 대중화와 교학이 성행한 통일신라시대, 불교 융성과 선교 양종이 공존하며 화려한 꽃을 피운 고려시대를 서술했다. 이어 유교와 불교의 교체 및 억불숭유정책의 조선전기, 자생적으로 기반을 다지면서 전통을 계승한 조선후기, 일제강점기 불교 상황과 근대성을 모색한 시기, 과거 유산을 청산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는 현대까지 조명했다.

<한국불교사> 저자 김용태 동국대 HK교수는 “인도에서 동아시아로 이어진 불교의 세계사적 확장의 구도 속에서 한국불교가 갖는 고유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설명하고자 했다”면서 “비교사적 관점의 대중교양서 형태로 한국불교의 전체적 흐름을 소개한 것이 특징”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일본어 번역은 지난 2006년 불교신문에 일본불교사를 주제로 연재한 사토 아쓰시 센슈대 네트워크 정보학부 특임교수가 맡았다.

<일본불교사>는 ‘일본불교를 배우기 전에’라는 서언을 통해 “불교를 배우는 데는 계학, 정학, 혜학 등 삼학이라는 분류방식이 있고, 이러한 세 가지가 갖춰지고 나서야 비로소 한 사람의 승려가 된다고 여겼다”면서 수행의 전통, 학문의 전통, 고대의 산악사상 등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문을 열고 있다. 이어 고대불교, 헤이안 전후기 불교, 가마쿠라 시대 불교, 북령 계통의 개혁운동, 남북조 무로마치 전국시대 불교, 근세 불교, 근대 불교, 전후 현대의 불교 등으로 단락을 나눠 일본불교사를 고찰했다.

일본불교사

미노와 겐료 지음, 김천학 옮김/ 동국대 출판부

<일본불교사>를 집필한 미노와 겐료 도쿄대 대학원 교수는 “학문과 수행이라는 두 흐름을 축으로 간략히 조망하면서 일본불교를 통사적으로 다루었다”면서 “가까운 이웃나라이지만 독자적인 불교의 색채를 확고히 유지해온 한국에서 일본불교에 관한 간략한 통사가 과연 얼마나 필요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국어 번역은 김천학 동국대 HK교수가 했다.

<한국불교사>를 일본어로 옮긴 사토 아쓰시 교수는 “이번 책은 한국인이 한국불교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일본인들이) 잘 알 수 있는 좋은 책”이라며 “일본학자들은 <한국불교사>가 개론서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읽기 쉬운 책”이라고 전했다. 이어 “일본인들이 한국불교나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가 진전됐으면 좋겠다”면서 “두 책의 교차 출판을 계기로 한일 양국 간의 이해와 교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김종욱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장은 “동아시아불교 속에서 한국불교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의 신뢰받는 교육기관에서 불교사를 교차 발간한 것은 상호 발전은 물론 양국의 이해 폭을 넓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일 양국은 오랜 기간 애증을 반복해 왔다. 한국이 불교를 비롯한 각종 선진문물을 일본에 전해줬지만, 한국과 일본은 전쟁과 침략 등 아픈 역사를 간직한 특수한 사이다. 특히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를 겪으며 두 나라의 불신은 더욱 깊어지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두 책의 교차출판은 한국과 일본의 공통분모 가운데 하나인 불교의 양국 역사를 이해하고 공유하여 상호 공감대를 확대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음은 <한국불교사>를 일본어로 번역한 사토아스시 센슈대 특임교수와의 이메일 인터뷰 내용이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