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의 관념 벗어나면 평화롭다

 

부처란 일체 모든 관념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표현한 말임을 알고

남을 깨닫게 하려고 노력한다면

그가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사람 

그때에 수보리가 이 법문 설하심을 듣고 부처님의 진실한 뜻(義趣)을 깊이 알아서, 감격하여 눈물을 흘리고 울며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놀라운 일입니다(希有).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처럼 뜻 깊은 법문을 말씀해 주시니, 제가 옛날에 지혜의 눈(慧眼)을 뜬 후로 일찍이 이와 같은 법문을 듣지 못했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법문을 듣고 믿는 마음이 깨끗하여 곧 진실한 지견(實相)을 내면 이 사람은 가장 뛰어나고 놀라운 공덕을 성취할 것임을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진실한 지견이라는 것은 곧 이것이 지견 아닌 것을 말씀하심이며, 이런 까닭에 여래께서는 진실한 지견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 법문을 듣고는 믿고(信) 알며(解) 받아들이고(受) 실천하는 것(持)은 어렵지 않습니다만, 만약 오는 세상 다섯 번째의 오백년에 그 어떤 중생이 이 법문을 듣고는 믿고 알며 받아들이고 실천한다면, 이 사람은 곧 가장 놀라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사람에게는 ‘나’라는 관념 · ‘사람’이라는 관념 · ‘중생’이라는 관념 · ‘목숨’이라는 관념이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슨 까닭이겠습니까? 나라는 관념이 곧 관념이 아니며, 사람이라는 관념 · 중생이라는 관념 · 목숨이라는 관념이 곧 관념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이란 일체의 관념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상적멸분’ 다음 회에 계속)

제14분은 깨달음만이 유일한 행복임을 밝히기 위해 관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경지를 설명하고 있다.

앞부분인 위의 말씀에서는 먼저 수보리존자가 스스로의 참된 깨달음에 대해 온 몸과 온 마음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수보리존자는 부처님께서 “스스로 초월적 지혜(般若)로 살면서 세상 사람들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이가 가장 복된 사람이며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 그가 곧 부처다”라고 말씀하신 지금까지의 법문을 듣고는, 몸과 마음이 온통 환희로운 법열(法悅)로 충만하여 기쁨의 눈물을 흘리며 자신의 체험을 말씀드리고 있다. “놀랍습니다. 제가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지혜의 안목이 열린 이후 이처럼 깊고 깊은 말씀은 처음 듣습니다.”

온몸과 마음으로 깊은 이치를 깨달았을 때 느끼는 법열(法悅)로 눈물을 흘린 적이 있는가.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자기의 공부를 다시 점검해 봐야 한다. 자신을 던져 마음 공부한 이라면 적어도 몇 번쯤 법열의 눈물흘림이 있어야 한다. 이 법열의 환희는 일회적인 것이 아니다. 내면의 모든 장애를 초월해 버리기 때문에 이 법열 이후로는 괴로움에 떨어지지 않는다. 

수보리존자는 이 체험을 하고는 ‘놀라운 일(希有)’이라고 실토하고 있다. 이전의 작은 체험을 뛰어넘은 것이다. 혼자 고요한 것은 진정한 공(空)이 아니다. 정말 공을 체득했다면 그는 자비롭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참된 지견(實相)은 부처님의 지견(佛知見)이다. <법화경>에서는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이 부처의 지견을 열어서(開) 보이고(示) 깨닫게 하여(悟) 부처님처럼 살게 하려는(入) 오직 하나의 목적이었다”고 말씀하셨다. 불교수행의 목적은 지식의 학습도 지식의 축적도 아니다. 혼자 외딴 곳에서 유유자적하는 것도 아니다. 오직 스스로 깨닫고 다른 사람들을 깨닫게 하기 위해 보살행을 하는 것이다. 만일 현실참여를 해야 한다면 오직 이 목적이어야만 한다. 누구의 편을 들어주기 위해서나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한 단체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도 안 된다. 그것은 곧바로 충돌을 일으키고 만다. 

부처님 당시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무시하였고, 또 곁에서 무수히 법문을 들었음에도 부처님을 비난하며 떠난 이들이 있었다. 그것은 부처님에게 허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듣는 사람이 자기의 오만한 관념 속에 갇혀 있었기 때문이다. 하물며 2500년이 지난 현재에 반야바라밀의 법문을 듣고 이해하며 깨닫고 남을 깨닫게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가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사람이다. 그는 이미 온갖 관념에서 벗어나 자유자재하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지식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되 그 지식에 갇히지 않는다. 그 사람에겐 모든 지식과 눈앞의 현상들이 그저 흘러가는 물과 같기 때문이다.

수보리존자는 자신의 큰 깨달음을 이렇게 표현했다. “부처란 일체의 관념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표현한 말이다.” 이 구절을 접하는 순간 모든 것이 허물어져 기쁨의 눈물을 흘려야 한다.

[불교신문3300호/2017년5월27일] 

송강스님 서울 개화사 주지 삽화 박혜상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