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부대중공사가 걸어온 길

사부대중공사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자성과 쇄신 결사’와 만난다. 기원은 ‘야단법석’이다. 2012년 6월5일 결사추진본부는 종단 쇄신을 위한 불교의 미래와 변화를 논하기 위해 ‘열린 대화’의 장을 만들었다. 승속을 망라해 수많은 대중이 조계사 앞마당에 모여 사흘간 허심탄회한 속내를 주고받았다. 그야말로 형식엔 격의가 없었고 내용엔 성역이 없었다. 그간 종단 운영과는 거리가 멀었던 기층 불자들의 민심과 정서를 경청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시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야단법석의 정신은 100인 대중공사가 이어받았다. 2015년 1월28일 처음 열린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는 종단 지도부부터 말사의 사무장까지 교단 전 영역에서 활동하는 종도들이 골고루 참여해 새로운 교단을 열어가는 활로를 찾았다. 의제는 명확해지고 토론방식은 야단법석보다 틀이 잡혔다. 특히 종단 차원의 공식기구였던 만큼 파급력과 영향력이 엄청났다.

100인 대중공사의 최대 성과는 ‘대형사찰의 재정공개’와 ‘서의현 전 총무원장에 대한 사면 보류’였다. 대중공사는 사찰 재정 투명화를 명분으로 2015년 3월25일 “연 예산 30억 원 이상 모든 사찰 재정 공개, 분담금 공정징수”를 결의했다. 직후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기자회견을 통해 대중공사의 뜻을 받들겠다고 천명했고 직영사찰 4곳의 수입지출 내역을 종단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현재는 분담금 제도 전면 개선 위한 ‘분담금납부에관한법시행령’이 입법예고된 상태다.

1994년 종단개혁의 상징과도 같았던 서의현 전 총무원장에 대한 멸빈 징계를 호계원이 공권정지 3년으로 감해주자 사실상 사면이라는 논란이 일어났다. 이에 대중공사는 즉석에서 이를 논의에 붙였고 “재심 결정은 잘못(2015년 7월29일)”리나는 결론이 도출됐다. 결국 8월 호계원장 스님은 책임지고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종단 과거사 정리 위한 사부대중위원회가 구성되면서(2015년 9월) 사태는 수습됐다.

올해부터는 사부대중공사로 새롭게 출범한다. 100인으로 한정하지 않고 한층 폭넓게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