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연구소,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5> 발간...논문 5편 엮어

불교사회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한국 호국불교 자료집 Ⅴ>과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5>.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 하에서도 저변 확대를 위해 적극적 활동을 펼쳤던 불교계 노력과 3·1운동 당시의 불교계 업적을 재조명하는 자료집이 나왔다.

불교사회연구소가 최근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5>을 발간했다. 자료집은 불교사회연구소가 지난해 개최한 학술세미나에서 발표된 ‘3·1운동과 불교계의 항일운동’, ‘조선 초기 불교계의 보寶 운영과 그 의미’ ‘16세기 조선의 정치·사회와 불교계’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제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19세기 불교 외연外緣의 변화와 그 영향’ 등 5개 논문을 묶었다.

김용태 동국대 교수는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제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에서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의 희생은 숭유억불 정책을 펼치던 조선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정책으로 인해 불교의 세력이 크게 악화됐지만 불살생이라는 계율을 버리면서까지 전란에 뛰어들었던 서산대사, 사명대사 등 수많은 승장과 의승군의 충의의 공적은 불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크게 전환시켰다는 것.

김 교수는 “불교계는 승군과 승역 활동의 반대급부로 승려 자격과 활동을 국가로부터 공인 받았다”며 이는 국가의 입장에서 불교가 이제 활용의 대상이었지 더 이상 억압과 배제, 타파의 대상이 아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정리했다.

이어 “조선시대 의승군은 호국에 중점을 둔 호국불교의 상징적 사건이었다”며 “전란이라는 특수한 상황도 있었지만 유교사회인 조선에서 불교계가 충의의 공적을 세워 존립을 모색한 것이기도 했다”고 썼다.

3·1운동 때를 포함한 일제강점기, 불교계 항일운동에 대한 연구도 성과에 비해 미진하다. 한동민 수원화성박물관장은 ‘3·1운동과 불교계의 항일운동’에서 당시 독립운동에 대한 많은 연구 성과물이 있는 타종교와 달리 불교계 항일운동 연구가 여전히 미진한 이유로 불교계의 특수한 사정, 즉 출세간 성향 및 권력과 타협에 의한 조직적 참여 부재로 인한 어려움, 전문 연구자의 부족, 사료 발굴의 미흡 등을 꼽았다.

한 관장은 “사찰령 철폐운동을 비롯해 불교 전통을 수호하는 운동과 자주적 종단건설의 노력도 넓은 범주에서 불교계 항일운동에 포함될 수 있다”며 “항일운동의 폭을 다양하게 파악함으로써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역동적 모습을 복원해야 할 것”이라고 봤다.

이같은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불교사회연구소는 지난 2011년부터 호국불교연구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현재까지 발간된 호국불교 자료집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호국불교’ 용어의 개념과 범주 및 시대별 사례와 관련한 연구결과를 엮은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1>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2>, 2014년 ‘불교와 국가’를 주제로 시대 및 국가별 불교를 검토한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3>, 2015년 같은 주제의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4> 등이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격려사를 통해 “호국불교 연구를 통해 모든 국민이 ‘호국의승’ 활동과 역사적 공훈을 정당하게 평가하고 선대 구국제민 정신과 희생을 기억하고 추모하게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