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 과거사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인 서의현 전 총무원장이 참석해 공개 참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3차 대중공사는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내부 의견에 따라 끝내 불참하면서 다소 싱겁게 끝났다. 그간 멸빈자 처리와 관련해 논의를 지속해온 ‘종단화합과 개혁을 위한 사부대중위원회(이하 사부대중위원회)’의 결의사항을 그대로 추인했다. 다만 멸빈자의 사면을 원천봉쇄한 현행 종헌에 대한 개정을 암묵적으로 요청함으로써, 입법부인 중앙종회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현장에서는 22년이 지난 만큼 서의현 전 원장을 이제는 용서하자는 목소리가 우세했다. 교육원장 현응스님과 포교원장 지홍스님 등 종단개혁의 주역들부터 적법한 절차와 원칙에 입각한 사면에 대해선 동으했다. 군종교구장 정우스님은 한걸음 나아가 “타종단으로 갔거나 환속한 경우는 제외하더라도 1962년 통합종단 출범 이후 이런저런 이유로 종단을 떠나야 했던 모든 스님들을 복귀시키자”며 사면의 범위를 넓혔다. 대구 삼보사 주지 동훈스님은 “공과가 나뉠 수 있겠으나 은해사와 동화사 토지 환수 등 종단발전에 그만큼 공헌한 사람도 없다”며 옹호했다.

아울러 멸빈의 폐지를 건의했다. “제적을 징계의 상한선으로 두고 개전의 정이 있으면 사면을 해주면서 화합의 정신을 회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물론 온도차는 조금 있었다. 중앙종회의원 주경스님은 “대중이 용서하고 이해할 마음이 충분히 익어졌을 때 (사면을) 하면 좋은데 아직은 아닌 듯하다”며 “최종적으로 원만하게 마무리하기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하자”고 말했다. 서산 천장사 주지 허정스님은 “서의현 전 원장의 재심결정 무효화를 확인해놓고 당사자의 참회를 이야기한다는 건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크게 반발했다.

사면반대 세력의 비난에 대한 부담감을 안은 사부대중위원회의 고심도 엿볼 수 있었다. 공동위원장 도법스님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문제를 바라보면 괜찮을 텐데 그러지 못해 종단 사법체계에 대한 불신이 만연해 있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그러면서도 “사면의 조건으로 당사자의 성찰과 참회와 발원을 분명히 했다”며 “‘개혁’과 ‘화합’이라는, 일견 대립되는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힘썼다”고 사부대중위원회 활동의 의미를 정리했다. 정웅기 사무처장은 “호계원의 판결은 잘못됐다는 2015년 6월 100인 대중공사의 결론을 유지하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대안도 내놓아야 하는 게 사부대중위원회의 소임”이라며 “보다 정당하고 깔끔한 사면복권이 이뤄지려면 궁극적으로 종헌종법을 고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대중공사에선 미래사회 불교의 역할을 주제로 한 모둠토론이 전개됐다. 종단 현대사 50년의 명암을 짚어보는 조성택 고려대 교수의 특강도 진행됐다. 총무원장 자승스님, 중앙종회의장 성문스님, 교육원장 현응스님, 포교원장 지홍스님, 자성과 쇄신 결사추진본부장 도법스님을 비롯한 74 명의 100인 대중공사 위원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