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함통6년명 청동북 등 10건

전등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일감스님)가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진행 중인 ‘전국사찰 목판 일제조사 사업’의 성과로 강화 전등사 소장본 ‘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木板)’ 목판이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문화재청은 오늘(6월30일) 9건의 사찰 목판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함통6년명 청동북(咸通六年銘 靑銅金鼓) 등 총 10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을 거쳐 보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전등사 ‘묘법연화경 목판은 전체 105판 가운데 첫 부분인 1판이 없는 상태이나, 조선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성행했던 성달생(成達生, 1376~1444) 서체 계열의 <묘법연화경> 중 시대가 가장 앞서는 목판이다.

함께 지정예고된 송광사 소장 목판은 ‘대방광불화엄경소’ ‘계초심학인문(언해)’ ‘인천안목(人天眼目)’ ‘종경촬요(宗鏡撮要)’ ‘청량답순종심요법문(淸凉答順宗心要法門)’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 등이다.

송광사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은 현재 2347판이 보존되어 있는데, 해인사 대장경판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 현재 전해지고 있는 불서 목판 중에서 가장 방대한 자료이다. 이 목판은 벽암 각성스님(1575~1660) 등이 중심이 되어 1년 4개월에 걸친 짧은 기간에 전문인력 50여 명을 동원하여 만든 것으로, 간행 시기와 목판 수량 등에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계초심학인문 언해본 목판

‘계초심학인문’ 언해본 목판은 ‘(사)법어〔(四)法語〕‘,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가 함께 수록된 것으로 총 47판 가운데 45판이 남아 있다. ‘인천안목’ 목판은 전체 42판이 완전하게 전해지는데, 중국 선종 오가(五家)의 가르침이 수록된 이 책은 1357년 고려 수경선사본이 간행됐고, 이후 1395년 양주 회암사본, 1529년 순천 송광사본, 1530년 진산 서대사본 등이 판각되었던 적이 있으나, 모본이 되는 목판이 전해지는 것은 이 목판이 유일하다.

‘종경촬요’ 목판은 17판으로, 1531년 조계산 은적암에서 다시 만든 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일판이다.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은 2매 뿐이지만 1531년에 송광사에서 간행된 이후 계속 송광사에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는 목판으로서 중요한 자료이다.

수륙재 관련 의식집인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1531년(중종 26) 새겨진 것으로, <천지양명수륙잡문>의 현재 남아 있는 판본 중 가장 오래되고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어 가치가 높다.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서산 개심사 소장 목판인 ‘달마대사관심론(達磨大師觀心論)’과 ‘달마대사혈맥론(達磨大師血脈論)’도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달마대사관심론>은 고창 문수사 간본(1538), 무등산 안심사 간본(1570) 등이 있으나, 목판으로 현재 전해지는 것은 개심사 소장본이 유일하다. ‘달마대사혈맥론’은 목판 7매에 새겨졌는데 ‘팔(八)’자형으로 굽어진 목판까지 사용, 목판의 크기와 모양에 맞춰 글을 새겨놓은 특이한 사례다.

함통6년명 청동북

이와 함께 865년(경문왕 5)인 함통 6년에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청동북은 우리나라에서 제작연대가 확인된 청동북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지름 31.5cm, 폭 10.5cm의 크기로, 측면에 ‘함통육세을유이월십이일성내시(?)공(?)사금구(咸通陸歲乙酉二月十二日成內時(?)供(?)寺禁口)’라고 새겨져 있다. 제작 연대(865년)와 청동북의 명칭(금구, 禁口) 외에도 ‘이룬, 이루다(成內)’ 등 이두식 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