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心一境性)에 오르는 지름길’

주관과 객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음이 ‘올바른 관찰’과

마음가짐을 통하여 ‘일체’가 되고

그 세 가지까지 잊어버린 경지…

 

‘삼매경’, ‘독서삼매’에서 인용되는 삼매(三昧)는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켜 깊은 경지에 이른 상태’를 말한다. 삼매는 결합된 것, 짜여진 것 등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사마지’를 음역한 말로, 마음을 한곳에 집중시켜 흔들림이 없는 평등심(平等心)을 뜻한다. 예컨대 어떤 일에 마음을 듬뿍 쏟아 일심불란한 경지를 일컫는다. 선정(禪定)이라 의역하기도 한다.

완전히 하나에 몰두해 깊은 명상에 잠긴 무아 상태를 일컬어 흔히 ‘삼매경(三昧境)에 빠지다’라고 하며, 때문에 삼매는 불교 정신수행의 절정으로써 염불, 간화선, 위빠사나 등 모든 수행법의 기본이 된다. 선정(禪定)삼매니, 독경(讀經)삼매니, 염불(念佛)삼매니 해서 스님이 어떤 수행에 몰두하고 있는 모습 또는 그 경지를 말할 때도 쓴다.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 삼매는 필수 조건이다. 산란한 마음을 하나의 생각,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켜 흩어지지 않게 해 삼매에 빠져들고 또 이로써 마음의 산란을 막고 평정을 얻기 때문이다. 수행자는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진정한 삼매는 바르다든가 바르지 못하다든가 하는 상대적인 관념이 아니다. 생각이나 생각 아닌 것까지 넘어선 것이다. 삼매를 가장 명확하게 정의하고 분류한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원효스님이다.

원효스님은 <금강삼매경론>에서 삼매를 가리켜 마음이 하나의 대상을 관찰하면서도 치우침 없이 평등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봤다. 원효스님에 의하면 삼매를 이룬다는 것은 쉽게 풀이해서 주관과 객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음이 올바른 관찰과 마음가짐을 통하여 일체가 되고, 마침내 그 세 가지에 대한 생각까지 잊어버린 경지에 들어간 것을 뜻한다. 원효스님은 관찰하는 마음과 관찰되어지는 대상이 조화롭게 하나가 되는 성질을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고 했다. 모든 것과 조화로운 관계가 되는 심일경성의 선정은 열반에 오르는 지름길이 되는 셈이다.

[불교신문3209호/2016년6월15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