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려 앉지말고 과도한 운동 피하세요”

레저 스포츠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무릎 관절의 스포츠 손상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무릎 스포츠 손상에 대한 수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과는 달리 주로 젊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무릎 반월상 연골판 파열과 무릎 인대 손상이 대표적인 스포츠 손상이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 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구조물로 탄력있는 연부 조직으로 무릎 관절 연골 사이에 내외측에 각각 1개씩 존재한다. 해부학적으로 신경 및 혈관 분포가 가장자리 일부에만 존재하여 파열이 되더라도 가만히 쉬고 있거나, 평지 보행시는 통증없는 생활이 가능하나, 재생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수술기법이 발달되지 못하고 반월상 연골판의 기능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시기에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 후 통증이 발생하면 큰 무릎 절개를 통하여 이를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이는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을 악화시킨다는 것이 증명된 이후로는 금기시되고 있다.

무릎 관절경 수술의 발달과 더불어 퇴행성관절염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 대하여 절제술 보다는 가능한 봉합술이 올바른 수술법으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반월상 연골판의 혈관 분포가 한정적이어서 봉합 후 재생력이 지극히 낮으며, 반월상 연골판이 존재하는 공간 자체가 좁은 무릎 관절 연골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부위를 봉합할 때와는 달리 기술적으로 안정적인 봉합술을 시행하기에 제약이 많이 따른다.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 시행시 예상되는 다양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합 방법이나 좁은 무릎 관절면 사이에서도 안정된 봉합을 위한 일회용 기기들이 발전되어 왔다. 환자 개인의 신체 특성이나 반월상 연골판의 파열 형태를 고려하여 전문가의 판단에 의하여 적절한 봉합 방법과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봉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 후 조직이 잘 재생되어 성공적인 유합을 얻는다면 스포츠 활동을 기대할 수 있으나, 봉합 후 유합에 실패하거나 처음부터 봉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파열이 심하여 반월상 연골판의 대부분을 절제한 경우는 향후 무릎 골관절염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비교적 젊은 나이의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판의 대부분 소실된 경우, 사체 조직에서 채취하여 특수한 처리를 거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거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후 10년 후에도 상당수의 환자에서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환자 본인의 정상 반월상 연골판 보다는 연골 보호기능이 떨어진다고 추정된다.

그러므로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예방할 수 있도록 무릎 주변 근육 강화와 쪼그려 앉기를 피하는 등 생활습관 교정에 주력하면서, 파열이 발생한 경우 가능한 관절경적 봉합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불교신문3206호/2016년6월4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