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태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사찰과 지역 공동체’ 브리핑서 강조

“기존 종단 조직 체계를 개선하고 정리해야 한다. 급박해지는 현실에 대한 대응을 스님 개인과 개별 사찰에 맡길 것이 아니라 교구 또는 종단이라는 큰 단위에서 시행하고 준비해야 한다. 불교의 미래를 위해 공동체와 지역에 주목해야 한다.”

김관태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사진>은 ‘사찰과 지역 공동체’를 주제로 한 대중공사 브리핑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도시화와 지역공동화 현상, 저출산·고령화와 인구절벽 시대 도래 등 현재 사회 현상이 불교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 뒤, “한국불교 신도 감소와 사찰공동화 등을 불교계의 위기”로 진단했다.

김관태 연구원은 “불교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도시화와 지역 공동화 현상의 가장 큰 피해자였다. 산간과 농촌에 그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직격탄을 맞았다”며 “특히 농촌 인구의 감소와 초고령화는 지역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기존 신도들의 감소와 뒤를 이어줄 젊은 청년 신도 자원이 고갈된 상황은 지역 사찰과 불교가 곧 신도(인구) 절벽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김 연구원은 “신도 인구가 감소하면서 사찰의 재정적 기반을 흔드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 특히 출가자 수의 급감 현상까지 더해진다면 빈 절이 속출할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관태 연구원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구본사와 지역사찰의 역할을 강화하는 ‘교구책임제’를 제시했다. 종단의 주 관심사와 활동영역은 지역이 되어야 하며, 지역 현안에 대한 교구본사와 지역사찰의 신속한 대처를 위해 교구의 권한과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는 게 김 연구원의 주장이다.

김관태 연구원은 “교구 차원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포교 방안과 재정을 마련하고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구에 지역사회에 대한 종책수립과 재정 운용에 대한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 교구책임제는 교구가 지역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특히 하나의 교구본사로서 담당하기 어려운 광역자치단체에서의 활동과 같은 경우에는 지역 내 모든 교구본사가 연합하여 사업을 정리하고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교구 연합단위의 사업은 장차 광역자치단체 별로 ‘교구청’을 설립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연구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불교가 되고자 할 때 교구본사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중요하게 다가올 것”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 중앙종무기관과 교구의 역할에 대한 재정리가 필요하고 변화는 행정적 변화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역할의 변화와 분담에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