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갈리꿀라가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이전에 입고 있던

옷과 신발을 매달아 놓은

‘숲속’으로 가봐야 한다

그래서 이전의 삶이 얼마나

암울했고 무명에 헤맸으며

고통스러웠는가를 떠올리고

얼른 뉘우쳐야 한다

 

붓다 재세당시 낭갈리꿀라라는 제자가 있었는데 이 이름은 쟁기꾼이라는 뜻이었다. 쟁기질을 하며 힘들게 농사를 짓던 그에게 탁발 나온 붓다의 어느 제자가 출가를 권유해서 불제자가 된 것이다. 처음에는 자기처럼 천한 신분의 무식쟁이가 불제자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제의를 거절했으나 붓다의 제자가 되어 수행하는 것은 신분과 지식의 다소 등에 의해 차별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환희심을 가지고 발심한 것이다.

그러나 아주 특이하게도 그를 출가하도록 권유한 붓다의 제자는 낭갈리꿀라가 힘든 삶을 함께한 쟁기와 허름한 농부의 옷, 신발을 들판에 과감히 던져버리고 미련 없이 출가하려하자 뜻밖의 제안을 한다. 그의 낡은 쟁기와 옷, 신발을 버리지 말고 수행처 근처 숲 속 나무에 매달아 놓고 가자는 것이었다. 낭갈리꿀라는 그 제안에 다소 의아해했지만 시키는 대로 그것들을 새끼줄로 나무에 매달아 놓고 와서 삭발하고 붓다의 제자가 되었다. 정사에서 수행생활을 해 보니 이보다 좋은 삶이 없었다. 주린 배를 움켜쥐고 무더운 땡볕에 나가 숨 막히는 노역을 안 해도 탁발로 음식이 생기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으니 더할 나위 없이 좋았던 것이다. 그러나 하루 이틀 시간이 지날수록 수행생활도 쉬운 것이 아니었다.

천한 신분에 대한 멸시를 벗어나 육체적 노동을 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했으나 몸과 마음을 고정하고 평생 해 본적이 없는 부처님 되는 공부를 하자니 온몸이 뒤틀리고 마음은 번뇌망상에서 벗어날 줄을 몰랐다. 그는 너무 힘들어 자신을 출가 권유했던 붓다의 제자를 찾아가 하소연했다. 그러자 그는 낭갈리꿀라에게 숲 속으로 가서 출가하기 전에 매달아 놓은 옷과 신발 그리고 쟁기를 한 번 보고 오라고 했다.

낭갈리꿀라는 그곳에 가서 이전의 자기 옷과 신발, 쟁기를 보니 지난날의 암흑과도 같았던 삶이 저절로 떠올랐다. 헐어진 옷을 걸치고 평생 쟁기질만 하며 천시 받던 삶으로 되돌아갈 것인가 하고 생각하니 정신이 번쩍 들었다. 이렇게 깨달은 그는 수행에 나태함이 스며들 때마다 숲 속을 찾아 정신을 차리고 돌아오기를 수십 수백 번, 마침내 완전한 깨달음을 얻어 당당히 역사에 불제자로서 이름을 남기게 된 것이다.

낭갈리꿀라가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자주 이전에 입고 있었던 옷과 신발을 매달아 놓은 ‘숲 속’으로 가봐야 한다. 매달 혹은 매주, 매일. 출가자들은 붓다를 만나기 이전에 입고 있었던 옷과 신발을 보러 숲 속으로 가봐야 하고 재가자들은 붓다를 만나기 이전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초년이었을 때, 결혼 초기였을 때 혹은 10년 전 20년 전 그 때보다 얼마나 많이 누리고 풍요롭게 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위해 숲 속으로 가봐야 한다. 그래서 이전의 삶이 얼마나 암울했고 무명에 헤맸으며 고통스러웠는가를 떠올리고 얼른 뉘우쳐야 한다. 그리하여 본래의 나의 자리로 다시 돌아와 정진에 매진해야 한다.

바야흐로 무더운 여름이다. 모두들 더위를 피해 휴가를 내고 산으로 들로 바다로 해외로 가려는 부푼 계획을 세우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올해 우리 불자들은 전국 40여 사찰에서 준비한 여름 맞춤형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면서 나를 찾아 떠나 보는 것이 어떨까. 숲 속 사찰에서 이전에 벗어 놓은 옷과 신발 등을 찾아보고 어리석은 나를 일깨워 봄이 어떨까.

[불교신문3125호/2015년7월29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