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섭 교수 ‘한국불교사 탐구’ 펴내

인도 북방을 넘어 실크로드를 따라 한국 북부로 들어온 불교는 어떻게 이 땅에서 독창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을까. 고영섭 동국대 교수가 최근 펴낸 <한국불교사 탐구·사진>는 한국사와 함께 흘러온 1700년 한국불교사를 총체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이 책은 불교가 어떻게 한국불교의 고유성으로 자리해 오고 있는지를 염두에 두면서 한국사와 한국불교사의 접점, 한국불교와 국가, 역사 인물, 시대정신 등 총 4부로 나눠 광대한 한국불교사를 치밀하게 담아내고 있다. 고 교수는 “한국 불학자들은 인도와 중국 불교를 받아들이면서도 이론보다 실천에 집중하는 인도 교학과 이론에 치중하는 중국 종학을 뛰어넘어 이론과 실천을 치우침 없이 아우르는 한국 불학의 틀로 녹여냈다”며 “이후 전개되는 모든 영역에서 ‘한국학의 자존심’으로 자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책은 한국사와 한국불교사의 접점, 한국불교의 전통과 원효불학의 고유성, 국가불교 호법과 참여불교 호국, 조선후기 승군제도의 불교사적 의미, 오대총림 연구 등에 대해 차례로 조명했다. 조선후기 고승의 비석 건립과 문집 간행을 통해 불교와 유교가 어떻게 소통했는지에 대해서도 살폈다. 마지막으로 동국대 법당 정각원이 지닌 불교사적 의미에 대해서도 조망했다. 정각원이 종립대 법당이라는 제한적 의미를 넘어 한국 정신사 근간인 불교사상을 선양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대학 강의실과 또 다른 위상을 지니고 있음을 논했다.

한국불교사의 지평 확대를 위해 책 말미에 ‘영문 목차’와 ‘영문 초록’을 넣어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고자 했다.

고영섭 교수는 “1700여년 이래 불교는 한국인들의 주체적인 노력과 능동적인 역할에 의해 우리사회에 깊이 뿌리내렸다”며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은 우리 삶의 도리와 문화가 됐으며, 어떻게 살아야 하고 관계 맺어야 하는지 가르쳐줬다”고 밝혔다. 이어 “그 결과 한국사는 한국불교사와 한우물이 됐고 한국불교사는 한국사의 마중물이 됐다”고 강조했다.

고영섭 교수는 현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불교사학회 및 한국불교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원효, 한국사상의 새벽>, <한국불학사>, <한국불교사연구>, <원효탐색>,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등이 있다.

[불교신문3107호/2015년5월20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