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봉주 전 국회의원이 조계사에 왔다. 지난해 10월부터 팟캐스트 ‘전국구’ ‘생선향기’ 편을 통해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을 ‘맑고 향기로운 곳’에서 ‘생선 썩은 비린내 진동하는 곳’으로 매도했던 그다.

인터넷상에서만 떠들던 그가 지난 3월31일 바른불교재가모임 창립법회에 모습을 드러내 “조계종은 김정은 집단” “세월호 사건 때 스님은 어디 있었냐” 등의 발언을 해 물의를 빚었고, 지난 12일 다시 한국 불교 1번지에 나타났다. ‘참회’를 기대했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정봉주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발언을 두고 둘러싼 불교계 여론악화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기 위해 조계사를 찾았다고 밝혔다. 정 전 의원은 “내 발언을 두고 말들이 많은 것 같다”며 자신의 발언이 ‘거두절미’ ‘왜곡일색’ 됐다 주장했다.

이어 한 신도가 굳이 “건강한 발전을 위한 문제제기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찾아왔어야 했나”라고 묻자 “그간 ‘생선향기’에서 다뤄졌던 내용에 대해 조계종이 아무 대응도 하고 있지 않고 있다가 지난주 종무원 조합이 나를 고소해 대화의 신호탄이라고 생각해 온 것”이라며 “문제제기를 통해 조계종이 바른 길로 거듭날 수 있다는 생각에 불가피하게 왔다”고 답했다.

“세월호 사건 때 스님은 어디 있었냐”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정봉주 씨(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지난 12일 조계사에 나타났지만 기대했던 ‘참회’는 없었다. 사진은 조계사 신도들과 대치하고 있는 정 씨 일행.

그러나 이날 정 전 의원의 발언은 여전히 세월호에 대한 조계종의 활동을 부정하고 종단을 여전히 김정은 집단이라 매도한 이전의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정봉주는 “지난번 발언은 조계종을 전면 부정한 것이 아니다”며 “프란치스코 교황이 참사로 인해 아픔을 겪고 있는 유족과 국민의 마음을 달래줄 때 왜 우리나라 종교인은 그러지 못했냐고 반문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김정은과 똑같다고 하지 않았다”며 도정스님이 징계에 회부된 사안을 두고 “헌법의 권리를 보장해주지 않으면 김정은 집단과 다를 바 없다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불성설, 세속과 종단의 차이를 전혀 알지 못하는 데서 온 ‘일방적 주장’ 이었다.

달라진 점은 있었다. 정 전 의원은 지난번 법회 때와 달리 삭발을 한 모습이었다. 열흘 전 세월호 가족들의 삭발식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날 정 전 의원은 총무원장 자승스님을 향해 “뭐하고 있었냐” 재차 외쳤다.

이어 “먼 나라 교황이 와야만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것이냐”며 “자승스님은 단식을 하던 유민아빠의 손을 잡고 곧 해결해 줄 것처럼 하다가 며칠 뒤 ‘특별법은 국회에서 해결하라’ ‘진상규명보다 민생이 우선이다’하지 않았냐”고 매도했다.

‘거두절미’ ‘왜곡일색’은 정 전 의원의 입에서 나올 소리가 아니다. 정 전 의원의 말대로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지난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단식하던 김영오 씨, 유민아빠를 직접 만나 “잘 이겨내달라” “끝까지 함께하겠다” 다독였다. 열흘 뒤 자승스님은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호소문’을 발표했다.

호소문에는 “진실규명과 국가혁신을 통해 안전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은 우리의 과제며 그 첫걸음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이라는 것과 “특별법이 정쟁으로 변질돼선 안되며 장외가 아닌 국회에서 대화와 협상을 해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금강스님의 말처럼 정 전 의원은 이날 ‘알지도 못하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고통앞에 중립은 있을 수 없다’는 말을 인용하며 조계종을 ‘고통 앞에 중립을 지키고 있는 비겁한 집단’이라 매도하는 듯한 비방을 이어갔다. ‘틀림’과 ‘다름’의 차이 ‘중립’과 ‘중도’의 차이를 알지 못하는 이의 모습이었다.

이날 정 전 의원의 일방적 태도, 자신이 아는 것이 전부라 생각하는 듯한 오만한 자세는 ‘대화’를 위해 찾아온 사람의 모습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정 전 의원은 분명, “카운트파트너(대화 상대자)로써 자승스님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그간 총무원장 자승스님의 행보를 들여다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그는 입장을 표명하고 오해를 풀기 위해 찾았다”라고 말하면서 본지의 질문 마저 가로막았다.

[불교신문3098호/2015년4월18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