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성 회장, 기존 책들 한권으로 합친 <통합쌍윳따니까야전집> 내놔

최근 <통합쌍윳따니까야전집>을 펴낸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회장.
5460여개의 풍부한 주석
모든 경전과 비유 설법
색인으로 만들어 목록화

“명상수행에 필요한 최고의 서적”

2002년 완역 출간된 초기불전 <쌍윳따니까야>의 통합개정본인 <통합쌍윳따니까야전집>이 나왔다. 전 11권으로 나눠있던 기존 책(초간본)들을 한권으로 합치고, 무려 3만4000매에 이르는 원고분량을 이단 편집해 쪽수를 줄이고 두께를 줄여 단행본으로 세상에 내놨다. 가방에 들어가는 사이즈여서 휴대하기 쉽도록 만든 것도 특징이다.

<쌍윳따니까야>를 한권으로 펴낸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장은 지난 2월24일 “명상수행을 위한 최고의 서적”이라며 “역사적인 부처님 말씀이 담긴 성전을 통해 공부하고 수행하는 문화가 사회전반으로 확산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승불교의 심원한 가르침을 깊이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고 밝혔다.

<쌍윳따니까야>는 전체 5권, 56쌍윳따, 232품, 2957경으로 구성돼 있다. 통합개정본에는 모든 경전을 색인으로 만들어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했다. 특히 연기법을 설명하는 갈대묶음의 비유, 사람으로 태어나기 어려움을 눈먼 거북이에 비유한 부처님의 말씀 등 불교교리에 등장하는 다양한 비유들을 바로 찾을 수 있게 목록과 쪽수를 달아 부록으로 실었다. 학문 연구자들을 위한 5460여개에 달하는 방대한 주석도 눈에 띈다. 팔리어번역술어, 한글번역술어, 팔리어경명색인도 부록에 실었다. 2002년 초판에 이어 2007년 개정판에서 발생한 일부 오역도 바로잡았다.

<쌍윳따니까야>에서 ‘쌍윳따’는 ‘(주제에 따라) 함께 묶인 것, 연합된 것’이라는 뜻이다. ‘니까야’는 ‘모임, 모음’ 등의 의미로, 이 용어에 해당하는 것이 북전에서는 ‘아함(阿含)’이다. <쌍윳따니까야>는 ‘주제에 따라 함께 엮은 가르침 또는 경전들의 모음’이라는 뜻이다. 이 경은 부처님 가르침의 원천인 경장(經藏)에 속하며, 그 위치는 다른 두 니까야, 즉 <디가니까야> <맛지마니까야>에 이어 세 번째에 속한다. 그 다름 네 번째로 <앙굿따라니까야> 다섯 번째가 <쿳다까니까야>이다. <쌍윳따니까야>는 팔리어로 된 경전 가운데 성립시기가 가장 오래됐으며, 입문자들을 위한 포교목적이 아니라 부처님 가르침을 깊이 연구하고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쌍윳따니까야>는 제1권 시와 함께 모아엮음(교리와 관련된 문학적인 시), 제2권 인연 모아엮음(괴로움의 발생), 제3권 존재의 다발 모아엮음(괴로움의 거룩한 진리), 제4권 여섯 감역 모아엮음(괴로움의 거룩한 진리), 제5권 광대한 모아엮음(깨달음으로 이끄는 수행방법)으로 이뤄져있다. 전 회장은 초역본에서 5권을 임의로 11권으로 나눠 번역했지만 이번에는 전5권을 한권으로 엮었다.

첫 권은 ‘머물지도 애쓰지도 않으면서 세상의 집착을 뛰어넘어 열반에 도달한다’는 중도적 교설로 출발한다. 두 번째 권은 연기법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 세 번째 권부터 마지막 권까지는 다섯 가지 존재의 다발과 여섯 가지 감각영역에 대한 분석 등이 전개되고 있다.

이번 통합개정본 발간을 위해 출판비용 전액을 희사한 스님이 있다. 대구 지장암의 벽안스님은 전 회장이 2003년 우리말로 완역한 <맛지마니까야>를 읽고 선뜻 후원의사를 밝혔다.

벽안스님은 발간사를 통해 “최근 들어 불립문자를 내세웠던 선불교 납자들이 방황일로에 있으며, 위빠사나 수행을 위해 남방으로 가는 스님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우리말 빠알리성전을 읽고 부처님말씀을 널리 펼쳐 승가가 정화되고 뭇삶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불국정토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유필화 성균관대 교수도 추천사에서 “통합개정판전집 출간을 계기로 많은 사람이 부처님 금구를 접하게 되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