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명(佛名) 연구의 필요성

불교에서는 수계식을 봉행할 때 불명(佛名), 법명(法名), 혹은 계명(戒名) 등과 같이 불교적인 이름을 수지하고 사용하는 전통이 있다. 이러한 전통은 부처님 당시부터 형성된 문화로 볼 수 있다. 부처님 제세시에도 경전에 등장하는 출가자나 재가불자들 중에서는 기존의 이름 대신에 불교적인 의미가 담겨진 이름을 새롭게 사용한 기록들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아나따삔디까 장자의 경우 부처님께 귀의하기 전에는 수닫따였다. <아함경>에는 수닫따라는 이름이 교단에 귀의한 이후 아나따삔디까로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출가자의 법명 사례는 사리불 존자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사리불 존자의 속명은 ‘우빠띳사’였다. 그런데 부처님의 제자가 된 후에는 속명 대신에 ‘사리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리푸트라’로 기록되어 있다. 목련존자의 속명은 ‘꼴리따’ 였는데 출가 후에 마하목갈라냐로 불렸다.

그렇지만 교단 초기에 불교에 귀의한 후에 모든 사람이 반드시 불교적인 이름을 받은 것은 아니다. 부처님의 직제자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출가전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단에 입문한 이후에 받은 불교적인 이름에 대하여 특별한 명칭은 없었다.

교단 초기

불교에 귀의한 후에

모든 사람이 불교적 이름을

받은 것은 아니다

율장이 정비되면서

수행자들의 경우

수계를 할 때 받는 이름을

승명(僧名)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후 율장이 정비되면서 수행자들의 경우 수계를 할 때 받는 이름의 경우 승명(僧名)이라고 불렀다. 승명은 삼보명 즉, 불명(佛名), 법명(法名), 승명(僧名) 등의 하나로 세속과는 별개로 붙여진 출가자 이름으로 볼 수 있다.

출·재가 모두 교단에 입문한 이후 불교적인 이름을 갖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이름이 붙여지면서 그것에 부합하는 정체성을 갖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즉 불교적 이름을 부여받은 사람은 그 순간부터 불교 교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갖기 시작한다. 또한 주변사람들은 불교적 이름을 근거로 불자(佛子)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불교 교단에서는 율장이 정비되고 수계식이 정착되면서 불교적인 이름을 부여하고 수지하는 전통이 생겨났다. 그 시작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을 찾을 수 없어 말할 수 없으나 불교적인 이름의 기원은 불명에서 시작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왜냐하면 석존 재세시에 설법을 통해서 여래십호를 설명하신 바 있기 때문이다.

여래십호는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는 내용이지만 각각의 명호 속에 담겨진 특징은 부처님의 또 다른 명호로 사용될 수 있었다. 여래십호는 불명, 즉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는 용어이면서 동시에 부처님을 호칭하는 별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경전에서는 삼보명이 등장하는데 이는 불법승 삼보에 대한 명칭을 의미한다.

김응철 중앙승가대 교수는 “불자들이 삶 속에서 정진하고 수행하는 방법과 목표를 제시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며 “불명의 중요성에 대하여 사찰의 소임자와 스님들부터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108산사순례기도회 회주 선묵스님이 수계식에서 신도들에게 연비하는 모습. 불교신문 자료사진

종단에서는 불자들이 오계 혹은 보살계를 수지하는 수계식에 참여하면 법명(法名)을 부여한다. 그리고 신도증에도 법명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사찰에 따라서는 수계식 때 불명(佛名)이라는 이름으로 주기도 한다. 이는 불명과 법명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현상을 고려해 보면 불법승 삼보를 표현하는 삼보명이 불명, 법명, 계명 등으로 변화돼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 없이 사용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향후 불자들에게 불명을 지어주고 그것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불명, 법명, 계명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명(佛名)이 널리 통용되어 왔으나 중국에서는 법명(法名), 일본에서는 계명(戒名)을 주로 지어주는 전통이 있다. 이것은 불교사상과 문화적 전통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에 대한 분명한 교리적 근거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여러 가지 별호(別號)를 지어 불렀다. 때문에 불명(佛名)은 사찰에서 부르는 불자의 이름에 한정되지 않고, 별호라는 사회적 효용성도 있다. 따라서 불자들이 자랑스럽게 자신의 불명을 별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미가 담겨져 있는 작명이 필요하다.

셋째, 불명을 부여하는 원리를 보다 불교적으로 제시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불명은 수기(受記)를 받을 때 앞으로 성불하여 그 세계의 부처님이라는 관점에서 받는 불교식 이름이다. 그런데 이 불명은 수기를 받은 불자들이 삶 속에서 정진하고 수행하는 방법과 목표를 제시하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별호 부여 방식에서 벗어나 불교적인 의미를 반영하는 작명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출재가 모두

교단에 입문한 이후

불교적인 이름을

갖는다는 것은 중요

불교적 이름을

부여받은 사람은

교단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갖기 시작한다

이를 고려하여 필자는 십바라밀행(十波羅蜜行)의 세 가지 실천원리, 즉 십도삼행(十度三行)을 기본원리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30여자의 글자를 선정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불명 작법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면 보시바라밀의 실천원리인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에 대응하여 행(行), 혜(惠), 성(成) 등의 글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글자를 두 번째 혹은 세 번째에 붙이면 재시, 법시, 무외시의 실천을 강조하는 불명을 만들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불명을 지으면 신도들의 특성에 따라서 30가지 바라밀 실천원리를 제시할 수 있고, 불명의 의미도 쉽게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우바새의 경우는 두 글자로 불명을 지어주는 전통이 있기 때문에 많은 불명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경전에 있는 단어나 글자 등을 활용하여 불명을 짓고, 여기에 바라밀행을 의미하는 글자를 붙여주는 방법을 함께 활용할 수도 있다.

불명(佛名)은 신도들이 속명을 대신하여 부름으로써 불자로서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불교적 신행활동을 실천하도록 촉진시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세속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별호(別號)의 하나로서 기능하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불자들이 자긍심을 느낄 수 있고 세간에서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활용도가 높은 불명을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불명을 짓는 과정에서 서로 중복되는 경우들이 많아짐으로써 신도들의 수가 매우 많은 사찰에서는 혼란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다수의 불자들에게 수계를 할 경우 수계자의 수에 해당하는 각기 다른 불명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명사전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 스님들이 개인의 특성과 원력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불명을 짓는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바새에게는 2글자의 불명, 우바이에게는 세 글자의 불명을 주는 것을 차별적으로 인식하는 불자들이 있다. 또한 여성 재가불자들도 두 글자의 불명을 받기를 원하는 경우들도 있다. 이 경우 우바이에게도 두 글자의 불명을 줄 수 있는데 그 수가 많으면 짓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불명만으로 우바새와 우바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원리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불자들은 신도교육을 받거나 보살계를 수지할 경우 이 사찰, 저 사찰에서 불명을 받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불명이 남발되고 불자들이 그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례도 발생한다. 또한 일부에서는 이미 받은 불명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자 하는 불자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미 받은 불명을 일상에서 활용하는데 다소 부족함을 느끼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따라서 불명은 수계사 스님들이 사무량심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지어주고 그것에 담겨진 의미를 바탕으로 바라밀행을 실천하도록 인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명의 중요성에 대하여 사찰의 소임자와 스님들부터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재가불자들은 자신의 불명에 대하여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들이 많다. 그리고 그 의미를 새기고 자신의 신행활동과 관련지어 생각하는 불자들도 다수 있다. 따라서 무작위로 부여하거나 성의 없이 불명을 줄 경우 재가불자들이 내심 반발할 수도 있고, 불명의 가치를 폄훼하는 사례도 나타날 수 있다.

불명은 수여 받는 사람의 특성, 원력, 실천방법 등을 고려하여 작명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지도법사, 수계법사 등이 수계자들을 면밀히 관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수의 불자들에게 불명을 주어야 할 경우에는 불명사전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때에도 수계자의 특성과 불명의 의미를 고려하여 심사숙고해야 한다.

불명 작법은 경전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의미는 복덕과 지혜의 증득과 실천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해설해 주고, 수계자가 그 의미에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갖도록 지도해 주어야 한다.

[불교신문3071호/2015년1월1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